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TRẦN THỊ NAM TRÂN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의 특징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NGHIÊN CỨU ĐẶC TRƯNG CỦA UYỂN NGỮ TIẾNG HÀN DIỄN ĐẠT
CÁI CHẾT (LIÊN HỆ VỚI TIẾNG VIỆT)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하노이- 2021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TRẦN THỊ NAM TRÂN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의 특징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NGHIÊN CỨU ĐẶC TRƯNG CỦA UYỂN NGỮ TIẾNG HÀN DIỄN ĐẠT
CÁI CHẾT (LIÊN HỆ VỚI TIẾNG VIỆT)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지도교수: NGUYỄN LỆ THU
하노이- 2021
연구 윤리 서약서
이 논문은 본인 개인의 연구 결과물임을 밝힙니다. 논문에서 제시된 자료,
인용은 정확한 것이며, 결과는 다른 연구에서 게시된 적이 없습니다. 연구
윤리에 대한 위반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대학 위원회의 결정 에 따릅니다.
논문 작성자
Trần Thị Nam Trân
i
감사의 말씀
어느 새 2 년의 석사과정을 마치고 학위 논문을 제출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2 년의 시간 동안 저에게 도움을 주신 분들이 많습니다. 미흡하지만 학위 논문을
마치면서 그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누구보다도 많은 도움을 주시고, 부족한 점을 언제나 세심하고 꼼꼼한 손길로
지적해주신 Nguyễn Lệ Thu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교수님께서 석사
학위논문을 무사히 마칠수 있도록 항상 성심성의껏 지도 해주시고, 인생에 있어서도
많은 조언을 해주셨습니다.
또한 바쁘신 와중에도 따뜻한 격려와 조언을 해주신 하노이 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Trần Thị Hường 교수님, Lã Thị Thanh Mai 교수님,
Đỗ Phương Thùy 교수님, Hoàng Thị Yến 교수님, 하노이대학교 한국어과 Nghiêm Thị Thu
Hương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외에도 여기에 미처 적지 못한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이 있어
제가 있었고, 저도 여러분께 힘이 될 수 있는 존재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지은이: 쩐 티 남 쩐
ii
초록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들을 조사하여, 그와 관련된
베트남어와 비교하며 양국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밝히기
위해
제1장에서는 먼저
연구의
사유
및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와 베트남어 선행 연구를 고찰한 후에 연구 밥법 및 연구 범위, 논문의
이론적, 논문의 의의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구성을 정리하였다. 다음에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으로 나눠서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이 논문의 문헌 연구를 통하고 한국어 완곡어에 대한 선행
연구의 개념 정의를 검토해 보고 민족성, 시대성, 금기어와 관련성 등과 같은
완곡어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완곡어는 세계의 각 나라에 존재하는 보편적인
언어 현상이다. 완곡어의 기원은 원시시대 ‘금기’ 문화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한국어 완곡어의 흐름 속에서 죽음, 배설, 성, 질병, 신성, 범죄 등과
같은 완곡어의 영역을 파악하였다.
제3장에서는 구체적으로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의 양상을 분석한다.
먼저, 죽음과 언어의 관계를 논의하며 ‘죽음’에 대한 완곡어의 발생 요인,
개념적
은유와
환유의
방식에
의해
완곡어의
사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장에서 완곡어를 ‘신분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종교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사망 원인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장례 풍속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등 네 가지 양상으로 나눠서 분석한다. 이상의
분류에 따라 한국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완곡어를 나열하여 쓰임의 예문들을
제시하겠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죽음’에 대한 완곡어가 사용된 구체적인
표를 만들어보고 양국 언어 완곡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완곡어
교수·학습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혔다.
제5장에서는 이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여 맺음말을 도출하였다.
지금까지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 연구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지만
iii
베트남어와 비교에 관련된 연구는 아직도 없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두 언어의 교류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도록 추진하고 향후 한국어를 공부하는
베트남인에게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고 ‘죽음’에 관한 완곡어를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고 교수·합습에 유용한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이바지하는 것을 바란다.
핵심어: 죽음, 완곡어, 금기어, 한국어, 베트남어
iv
TÓM TẮT LUẬN VĂN
Uyển ngữ là thuật ngữ bắt nguồn từ tiếng Hy Lạp có nghĩa là nói cho tốt đẹp, nói
cho hay hơn. Trong tiếng Việt, tùy theo quan điểm và phạm vi nghiên cứu mà thuật ngữ
này còn được gọi bằng nhiều tên gọi khác nhau như nói giảm nói tránh, khinh từ, nhã
ngữ ... Có thể nói uyển ngữ phản ánh văn hóa, đạo đức ứng xử của mỗi cá nhân trong xã
hội đối với những sự vật, hiện tượng tự nhiên có trong đời sống con người. Chính vì thế,
mục đích của nghiên cứu này là khảo sát các uyển ngữ diễn đạt cái chết trong tiếng Hàn và
liên hệ chúng với các uyển ngữ trong tiếng Việt nhằm làm rõ điểm giống và khác nhau
giữa hai ngơn ngữ. Với mục đích đó, ở chương 1, chúng tôi đưa ra lý do nghiên cứu, khảo
sát các cơng trình nghiên cứu trước đây của các tác giả Hàn Quốc và Việt Nam, trình bày
về phương pháp nghiên cứu, phạm vi nghiên cứu, ý nghĩa của luận văn, và cấu trúc của
luận văn.
Ở chương 2, chúng tôi tham khảo quan điểm của các tác giả và hệ thống lại một
cách khái quát về khái niệm, đặc trưng của uyển ngữ tiếng Hàn. Khi giao tiếp, những
người tham gia giao tiếp ít nhiều đều phải đối mặt với những tình huống mà họ khơng thể
trực tiếp nói ra, hoặc nếu nói trực tiếp thì làm cho người nghe và thậm chí là cả người nói
cảm thấy lúng túng, khó xử. Uyển ngữ ra đời và đi vào đời sống theo cách như vậy. Trong
chương này, chúng tôi chỉ ra các lĩnh vực thuộc uyển ngữ như cái chết, bài tiết, giới tính,
bệnh tật, thần thánh, nghề nghiệp, tội phạm...
Ở chương 3, chúng tơi phân tích cụ thể các loại hình uyển ngữ liên quan đến „cái
chết‟ trong tiếng Hàn. Trước hết, chúng tôi chỉ ra mối quan hệ giữa cái chết và ngôn ngữ,
„cái chết‟ luôn là chủ để kiêng kị phổ biến nhất, có ở hầu khắp các nền văn hóa, vẫn là một
chủ đề nhạy cảm có thể gây đau buồn hoặc gợi lên sự sợ hãi, do vậy người ta thường tránh
đề cập đến nó một cách trực tiếp, thay vào đó người ta thường sử dụng đa dạng các uyển
ngữ và thuật ngữ giàu hình ảnh để giảm nhẹ sự u buồn, thê lương, sợ hãi mà cái chết mang
lại. Vì vậy, trong nghiên cứu này, chúng tơi lý giải q trình tạo lập uyển ngữ diễn đạt cái
chết trong tiếng Hàn dựa trên phương thức tu từ ẩn dụ và hoán dụ. Cũng trong chương này,
chúng tơi phân tích các uyển ngữ diễn đạt cái chết ở góc độ ngơn ngữ học xã hội và chia
chúng thành 4 loại, bao gồm „uyển ngữ về cái chết theo thân phận con người‟, „uyển ngữ
về cái chết theo tôn giáo‟, „uyển ngữ về cái chết theo nguyên nhân tử vong‟, „uyển ngữ về
v
cái chết theo phong tục tang lễ‟. Dựa theo phân loại trên, bài nghiên cứu thống kê những
uyển ngữ được sử dụng trong thực tế và đưa các ví dụ về cách sử dụng chúng từ các ngữ
liệu như giáo trình tiếng Hàn, báo chí, từ điển...
Ở chương 4, chúng tôi đã lập bảng và tiến hành nghiên cứu phân tích điểm giống và
khác nhau của uyển ngữ diễn đạt „cái chết‟ được sử dụng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hơng qua kết quả nghiên cứu, bài viết trình bày phương án giảng dạy và học tập uyển ngữ
chỉ cái chết trong tiếng Hàn cho đối tượng người học là người Việt Nam.
Chương 5 là phần kết luận, chúng tôi trình bày tóm tắt các kết quả nghiên cứu.
Cho tới bây giờ vẫn chưa có nhiều cơng trình nghiên cứu liên quan đến cái chết trong
tiếng Hàn và liên hệ với tiếng Việt, vì vậy thơng qua kết quả nghiên cứu, bài nghiên cứu này
hy vọng đóng góp vào sự thúc đẩy trao đổi giữa hai ngôn ngữ, đồng thời giúp cho người Việt
học tiếng Hàn giao tiếp linh hoạt hơn, hiểu và sử dụng chính xác hơn về uyển ngữ chỉ cái chết
trong tiếng Hàn và trở thành tài liệu hữu ích trong việc giảng dạy và học tập.
Từ khóa: cái chết, uyển ngữ, kiêng kỵ, Hàn Quốc, Việt Nam
vi
목차
연구 리 서약서 .................................................................................................... i
감사의 말씀 ........................................................................................................ ii
초록 ................................................................................................................... iii
TÓM TẮT LUẬN VĂN ........................................................................................ v
표 목차 .............................................................................................................. ix
그림 목차 ........................................................................................................... ix
제 1 장. 서론 ....................................................................................................... 1
1. 연구의 사유 및 목적 ..................................................................................... 1
2. 선행연구 검토 ................................................................................................ 4
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7
4. 연구의 의의 ................................................................................................... 8
5. 논문의 구성 ................................................................................................... 8
제 2 장. 완곡어의 이해 ...................................................................................... 10
2.1 완곡어의 개념 ............................................................................................ 10
2.2 완곡어의 특징 ............................................................................................ 13
2.3. 완곡어의 영역 ........................................................................................... 16
제 3 장.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 실현 양상................................................. 19
3.1 죽음에 관한 언어적 이해........................................................................... 19
3.2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발생 요인 .............................................................. 21
3.3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수사 방식 .............................................................. 23
3.3.1 은유 ........................................................................................................ 23
3.3.2 환유 ........................................................................................................ 27
3.4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실현 양상 .............................................................. 29
3.4.1 신분에 따른 완곡어 ................................................................................ 30
3.4.2 종교에 따른 완곡어 ................................................................................ 37
3.4.3 사망 원인에 따른 완곡어 ....................................................................... 41
vii
3.4.4 장례 풍속에 따른 완곡어 ....................................................................... 45
제 4 장. 죽음에 관한 베트남어 완곡어와 비교 .................................................. 48
4.1 공통점 ........................................................................................................ 49
4.2 차이점 ........................................................................................................ 57
4.3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완곡어 교수·학습에서의 활용 방안 ........... 60
제 5 장. 결론 ..................................................................................................... 66
참고문헌 ........................................................................................................... 69
부록 ..................................................................................................................... I
viii
표 목차
<표 1> 신분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 30
<표 2> 종교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 38
<표 3> 사망 원인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 42
<표 4> 장례 풍속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 46
<표 5> 한·베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공통점 및 차이점 ................................ 49
<표 6> 한국어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의미................................................... 62
<표 7> ‘죽음’ 관련 적절한 완곡어와 연결....................................................... 63
<표 8> ‘죽음’ 관련 한국어 완곡어를 베트남어로 번역하는 것........................ 65
<표 9> ‘죽음’ 관련 베트남어 완곡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 65
그림 목차
<그림 1> 은유와 환유로 금기어와 완곡어의 관계 .......................................... 23
ix
제 1 장. 서론
1. 연구의 사유 및 목적
인간은 언어를 통해 자기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한다. 언어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로서 단순히 의사소통의 도구로만 멈추지 않는다. 언어는 그 언어가 생성된
문화적 배경이 다루어져 있기 때문에 한 사회의 민족이나 집단의 가치관과 세계관도
반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국어를 습득할 때 단지 그 언어 자체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의 생활양식, 언어습관 등과 같은 것을 알아야 한다.
외국인 학습자는 이러한 문화를 교육되지 않으면 의사소통에 방해가 될 수도 있으며
목표한 언어를 유창하게 이용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 대화 상황에서
어떤 어휘나 언어 표현은 특유한 문화적 배경으로 인해 언급하면 안 되거나 간접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사회 구성원들이 쓰는 언어를 살펴보면 좋은 말은
노골적으로 표현하지만 나쁘거나 삼가는 말은 노골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완곡하게
표현한다. 특히 대화할 때 어떤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말하면 무례하고 딱딱한 느낌을
준다. 반면에 간접적인 방식으로 말하면 상대방에게 거슬리지 않고 좋은 인상을 줄
것이다. 그런 이유로 수사법의 효과를 함축하고 있고 설득력을 가지고 있는 완곡어를
사람들이 활발하게 사용하게 되었다.
완곡어란 의사소통에서 청자의 감정이 상하지 않도록 화자가 모나지 않고 원만한
말을 선택해 사용하는 표현이다. 즉, 완곡어는 같은 의미를 지닌 말이라도 직접적인
또는 공격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대신에 듣기 좋은 말로 바꾸어 표현함으로써
상대방에게 불쾌한 감정을 전이시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1). 따라서 완곡어는 비교적
함축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많으며, 입으로 언급하기 어려운 말을 비유를 통해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1)
채춘옥(2013),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대조 분석,『사회언어학』 22-1,
255-279 쪽에서 채인용
1
완곡어는 사회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그 자체로도 의미가 깊고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각 민족은 역사적, 사회적, 지리적 환경, 사고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도덕, 민속, 정치, 종교, 심리 등의 문화 현상을 반영한 그들만의 독특한 완곡어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여러 측면에서 공통된 특징도 갖는다. 예를 들면 죽음,
질병과 같이 공포감을 유발하는 것이나 성, 배설 등 치욕감을 느끼거나 불결하다고
생각되는
것과
관련된
완곡어는
여러
민족의
언어에서
나타난다.
그러므로
의사소통할 때 완곡 표현을 쓰는 방식이 한 사람의 언어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어느 민족이나 문화에서 사람들은 항상 건강을 끊임없이 추구한다.
하지만 ‘생로병사’는 누구나 피할 수 없는 것들이다. 옛날 의료 기술은 현재보다 많이
열등한 편이었고 중병을 앓으면 생존의 가능성이 거의 없어서 죽음은 심한 공포와
고통의 상징이 되었다. 또한 죽음은 모든 사람들이 살아 있으면서 직접 체험해 볼 수
없는 영역이며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죽을지는 모르는 일이므로 죽음은 예측
불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죽음은
두려움을
유발할
수
있는
현상이며
죽음을
직접적이고 직설적으로 말하는 것은 불경스럽고 극히 불길한 행위로 인식되어 왔다.
그래서 죽음에 대해 직설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완곡적인 말을 찾아서 대신했다.
이러한 완곡어는 ‘죽음’을 부드럽고 우아하게 묘사하기 위하여 한국어에서 풍부하게
사용되어 왔다.
한국과 베트남은 옛날부터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예의를 전통적 미덕으로
간주하고, 상대방에게 해치지 않고 존경을 표시하기 위해 완곡어를 많이 사용하여
왔다. 따라서 한·베 양국 간의 유사한 완곡어가 많이 존재한다. 반면 한국과 베트남은
역사적,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 상이점으로 인해 서로 다른 완곡어가 필수적으로
형성되었다. 그것을 충분히 잘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은 양국 간의 문화
교류에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 양국 간의 경제, 문화, 교육 등의 교류가 활발한 현
2
시점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가 능통한 사람들을 많이 요구하게 되고, 완곡어는
의사소통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문화적 토양도
밀접하고 수천 년 동안의 사회제도, 가치관념, 종교문화, 민속풍토 등의 영향을 받는
한국에서는 죽음과 관련하여 완곡어의 내용이 풍부해 깊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의 특징을 연구하며 베트남어와 비교하는 것이 베트남
학습자가 언어를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완곡어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완곡어를 한국어에서 베트남어로
또는 반대로 번역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가 된다. 베트남과 한국 간의 쌍방면적 교류가
날로 확대되고 발전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거나 연구하는 데
있어서 한국의 완곡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그러나 실제로 살펴보면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모국어의 영향과 한국어 완곡어의
형태 및 특징에 대해 이해 부족으로 한국어 완곡어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한국어 및 베트남어의 완곡어에 관한 연구들이 현재까지도 많이 부족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베트남인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에 대한 지식이 제대로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
실현 양상을 분석하여 베트남어와 비교해 본다. 이를 바탕으로 양국 언어 ‘죽음’에
대한 완곡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본고는 한국어 교수·학습에서와 한국어·베트남어 번역에서의 활용 등 ‘죽음’에 관한
완곡어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는 한국어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들을 조사하여, 그와 관련된 베트남어와
비교하며 양국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완곡어
개념과 특징을 살펴봐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발생요인을 밝히고, 한국어에서 ‘죽음’과
관련된 여러 완곡어들을 국어사전 및 코퍼스 자료를 대상으로 조사·분류하여 검토한다.
3
또한 최근 의미론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는 수사방식의 은유와 환유 이론을 활용하여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죽음’에 관한 완곡어들을 분석검토함으로써 한국어문화의
습관 및 그 유사점과 상이점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 검토
초기에는 수사학의 시각에서 한국어 완곡어법이 논의되었고, 이용주(1959)가 한국어
완곡어법을 고찰하였다. 그 후에 임지룡(1992)은 어는 문화권에나 죽음, 질병, 성에
관한 직접적인 표현을 피하고 완곡어법을 사용하여 두려움을 진정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조혜선(1999)은
어휘
차원과
문장
차원에서
한국어
화용론적
관점에서
완곡어법의 실례를 분석하였다. Trần Thị Vân Yên(2009)은 한국어 완곡어법의 개념,
의미 변화 현상, 완곡어법 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완곡어를 주제어로 하는 연구를 살펴보면 김광해(1993)와 이정민(2000)은 완곡어를
어휘 범주로 한정하였는데 주로 기본이 되는 어휘들이 여러 가지 부정적인 느낌을
연상하는 경우에 부정적 이미지를 삭감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어휘들을 완곡어라고
있다. 그 외에는 김홍석(2008)은 한국어 완곡어 어휘 범주에서 완곡어를 고찰하였고
완곡어의 표현 방식은 간접화, 회피, 미화, 생략, 모호성, 체면 유지 등이 있다고
하였다. 문금현(1999)과 김미형(2000)은 어휘 범주의 완곡어에서 돌파구로써 벗어나고
완곡한 말을 최초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완곡어의 범주적 개념, 특성, 화용론적
개념과의 관계를 논하며 어휘 범주의 완곡어, 문장 범주의 완곡 표현을 고찰하는 한편
완곡 표현의 언어 심리를 분석하였다.2) 조미경(2005)은 의사소통 상대방이 느끼는
불쾌감 등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거나 간접적으로 돌려서 하는 표현을 완곡 표현으로
보고 공손표현의 입장에서 완곡 표현을 생각해 보았다. 또한 권길호(2015)는 완곡
표현의 개념과 특징, 생성과정과 유형, 대상 중심 완곡 표현의 특성, 관정 중심 완곡
2)
김미형(2000)에서, 어휘 범주의 완곡어는 재앙이 온다고 믿거나 더럽거나 은밀하거나 안 좋은 것, 곧
말하기 민망하거나 듣기에 불편한 것을 듣기 좋게 바꾼 단어 또는 관용구이며, 문장 범주의 완곡 표현은
충격주거나 듣기에 부담이 되거나 불쾌감을 주는 것 등 것을 듣기 종은 말로 바꾼 문장이라고 하였다.
이런 것에는 상대방에 대한 명령, 질책, 추측, 요청, 거절 등 상대방에게 직접적인 부담을 주는 것을
상대방을 배려함으로써 완화한 표현이 있다.
4
표현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한국어와 다른 언어와의 대조 연구 논문은 더욱 많은 편이다. 대체적으로 한·영,
한·일, 한·중, 한·러, 한·몽 간의 완곡어에 관련 대조 연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에서
한·중 완곡어 대조 연구가 가장 많은 연구의 양을 차지하고 있다. 이혁진(1991),
박종호(1998), 김미형(2009), 전지연(2013), 강영웅(2014) 등은 한·영 대조에 관한
대표적인 연구자들이다. 이효신(1988), 김미라(2006), 김정헌(2015) 등은 한.일 양국
완곡
표현에
대해
비교
연구를
하였다.
조희숙(2005,2006a,2006b,2006c,2009)등
연구는 모두 한·러 완곡어 대조에 관한 연구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김기선(2011)는
한.뭉 완곡어 비교 연구를 하였다. 이 가운데 한.중 간의 비교 연구가 가장 많고, 췌이
펑 훼이(2009),
용요요(2010), 왕소단(2011), 김욱(2011), 마풍빈(2012), 채춘옥(2014),
진흔흔(2016), 한신(2019), 종언선(2019) 등은 한·중 완곡어 대조 연구를 하였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한국어 완곡어 연구 중 ‘죽음’에 관한 연구는 몇
가지 나와 있다. 구체적으로 고찰한 관련 연구들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강병창,안혁(2013)은
대표적인
터부(taboo)3)
영역에
속하는
‘죽음’을
말할
때
완곡어법이라는 수사적 장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한국어, 독일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따라서 독일어권 신문의 ‘사망광고’ 분석을 통해 문화적으로 한·독 양국
언어의 비유적인 완곡어법의 차별성을 잘 보여주었다.
채춘옥(2013)은 완곡어의 인지적 요인을 살펴보고 한·중 언어에서 ‘죽음’과 관련된
완곡어의 유형과 그 구성 방식에 관한 대조 분석하였다.
3)
터부(taboo)는 1777 년 영국 선장 J.쿡이 여행기에 쓴 이후 영어 표현이 되었다. 터부는 광범위한
포리네시아 여러 섬에서 투푸, 카푸, 아푸 등으로 각각 다르게 발음된다. 또 이와 같은 어형은
미크로네시아나 멜라네시아에서도 발견된다. 폴리네시아의 여러 언어들에서 이 말은 주로 ‘금지하다’ 또는
‘금지되다’ 등의 뜻으로 쓰인다. 따라서 온갖 종류의 금지에 대해서 이 말을 쓰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5
이갑남(2017)은 중국어와 한국어의 금기어4)를 대체하는 언어 수단인 완곡 표현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금기어를
유형별로 나누고 이에 상응하는 완곡 표현을 분석하였는데 금기어를 대체하는 완곡
표현을 유형별로 분석함에 있어서 인간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주제인 ‘죽음’과 ‘질병’을
주요 대상으로 삼았다.
김억조(2019)는 ‘죽음’을 나타내는 금기어 표현을 대신하여 사용되는 완곡어에 관한
인지언어학적인5)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따라서 은유, 환유 및 틀과 해석을 통해서
‘죽음’에 관련 완곡어을 표현하는 방법을 분석하였다.
유관남(2019)은 완곡 표현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이와 함께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은유와 환유뿐만 아니라 영상 도식 이론을 활용하여 ‘죽음’관련 완곡 표현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며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죽음’에 관한 한·중 완곡 표현들을 대비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위에서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해 보았다. 이어서
‘죽음’에 관한 베트남어 완곡어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겠다.
Nguyễn Thị Lan Hinh(2004)은 ‘죽음’과 ‘성’에 대한 완곡어의 특징을 언어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하며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죽음’과 ‘성’에 관한 중·베
완곡어를 대조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Nguyễn Viết Toàn(2007)은 영어로 죽음을 표현하는 완곡어법을 사용하여 죽음의
표현의 주요 특징과 특성을 개괄하여 영어 관용구에서 죽음이라는 단어의 완곡
표현을 고려했고 베트남어와 대조했다.
Đặng Trang Viễn Ngọc(2008)은 부분적으로 인지언어학적 분석 방법 중에서 문학
4)
배성영(2012)에서 금기어는 금기로부터 나온 것으로 금기의 사전적 의미는 ‘마음에 꺼려서 피함’인데
금기의 정의를 찾아보면 영어 ‘taboo’ 또는 폴리네시아 ‘tabu’란 단어로서 ‘신성’ 또는 ‘부정’을 뜻하는
말이었다.
5)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인지언어학(cognitive linguistics)은 인간 마음의 본질, 더 나아가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한 학제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언어, 몸과 마음, 문화’의 상관성을 밝히려는 언어 이론이다.
6
분야의 은유, 환유 측면에서 ‘죽음’ 관련 완곡어에 대해 베트남어와 영어 양국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이상의 한국과 베트남 학자들의 기존 대표적인 ‘죽음’에 관한 완곡어 관련 선행
여구 검토를 통하여 한·베 학자들은 자기 언어에 존재하는 ‘죽음’에 대한 완곡어 관련
여러 방면의 연구를 진행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일정한 정도의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의 연구 내용은 주로 완곡어의 개념, 구성 방식, 분류 등
포함한다. 특히 ‘죽음’에 관한 한국어와 다른 언어의 완곡어의 대조 연구에서 대부분
완곡어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그러나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 연구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지만 부족한 점도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먼저 학자에 따라 완곡어에 대한 정의가 다양하고 불확정해서
혼란스러울 경우가 있다. 그래서 완곡어의 정의에 대해 재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죽음’에 관한 한·베 양국의 완곡어 연구는 대부분 개념으로 은유와
환유를 활용하여 수사학, 문학 분야에 치중하고 논의하는 것이고 완곡어의 다른
방면에서 연구가 아직 부족하다. 셋째, 한국 학자들이 완곡어의 연구를 통하여 자기
나라의 완곡어를 연구하고 중국어, 영어, 몽골어 등과 같은 다른 언어와 대조하는
연구가 많음을 알 수 있는데 베트남어와 비교하는 연구가 많지 않은 형편이다.
그래서 보고는 어휘 층위의 완곡어를 집중하고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 완곡어의 수사 방식을 은유법과 환유법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양상을 논의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본격적으로 분석 및 비교함으로써
‘죽음’에 관한 베트남 완곡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보고자 한다.
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완곡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초점을 두고 양국의
완곡어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체계화 방법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7
완곡어에 대한 선행연구 및 사전, 서적을 참고한다. 그 외에 문헌 자료, 드라마, 영화
작품 등을 참고하여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완곡어를 포함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통계과 분류방법을 통하여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를 통계하고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신분, 종교, 사망 원인, 장례 풍속’ 등의 네 가지 범주로 죽음에 관한
완곡어를 나누고, 각 범주에 해당하는 예를 양국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신문 및 책, 사전 속에서 찾아 완곡어의 실제 양상을 보여 줄 것이다.
그리고 비교 방법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를 의미적 특징을
밝히하게
연구하며
한국과
베트남
양국간
문화,
인식
등
공통점과
차이점을
두르러진다.
연구의 범위는 어휘 층위의 완곡어를 집중하고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 사회언어학 측면에서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실현방식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는 데에 한정된다. 또한 본고는 ‘죽음’ 관련 완곡어에 대해 한·베 양국 언어의
대조
연구가
아니라
한국어에서는
‘죽음’에
관한
완곡어를
주로
분석함으로써
베트남어와 비교할 때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4. 연구의 의의
본고는 한국어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들의 특징을 분석하고 검토하여 그와 관련된
베트남어와 비교하며 양국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죽음’에 관련된 완곡어에 대해 잘
파악하고 정확한 의사소통과 양국 언어 전이를 위해 많이 도와준다.
5. 논문의 구성
위와 같은 연구방법에 따라 본고는 서론, 결론 외에 전체 총 3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별 주요 논점을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사유 및 목적,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죽음’에 관하여 한국어
완곡어의 방법과 범위를 논한 후 연구의 의의와 구성 등을 제시한다.
8
제2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여기에서
완곡어에 대해 사전과 선행연구의 성과를 총괄적으로 완곡어의 개념, 민족적. 시대적.
금기어와의 관계적 특징, 영역 등에 관련된 이론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구체적으로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의 양상을 분석한다. 완곡어의
분석은 통사적 분석 아니고 어휘적으로만 분석을 진행한다. 이를 하기 위하여 본
장에서는 먼저, 죽음과 언어의 관계를 논의하며 ‘죽음’에 대한 완곡어의 발생 요인,
은유와 환유의 방식에 의해 완곡어의 사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장에서
완곡어를 ‘신분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종교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사망
원인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장례 풍속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등 네 가지
양상으로 나눠서 분석한다. 이상의 분류에 따라 한국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완곡어를
나열하여 쓰임의 예문들을 제시하겠다.
제4장에서는 2장의 분류에 따라 ‘죽음’에 관하여 한·베 양국 언어 완곡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또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본고는 한국어 교수학습에서의
활용 등 ‘죽음’에 관한 완곡어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도출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9
제 2 장. 완곡어의 이해
본 장에서는 한국어 완곡어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볼 것이다.
즉, 완곡어에 정의, 특징, 영역, 등 관련된 이론을 검토할 것이다.
2.1 완곡어의 개념
완곡어의 개념에 대해서는 한국 학자들 간 현재까지도 통일한 개념 정의가 나오지
못하였다.
그래서
본
장에서는
사전적인
정의와
학자들이
완곡어를
어떻게
정의했는지를 대표적인 연구들을 통해 살펴보고 본 연구의 기준으로 삼을 것이다.
완곡에 대응되는 영어에서의 용어는 유피미즘(euphemism)6)이라고 한다. 유피미즘
(euphemism)에 대한 한국어 표현은 주로 완곡어, 완곡어법, 완곡 표현으로 쓰이고 있다.
먼저 사전적 의미를 보면 《표준국어대사전》(2001)에서는 ‘완곡어법 또는 완곡어는
듣는 사람의 감정이 상하지 않도록 모나지 않고 부드러운 말을 쓰는 표현법’아라고
하였다. ‘변소’를 ‘화장실’이라고 하거나 ‘죽다’를 ‘돌아가시다’로 표현하는 것 따위를
이른다고 하였다.
위에서 사전적인 정이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한국 학자들의 연구에서 완곡어법
또는 완곡 표현으로 정의된 완곡 표현의 정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용주(1959)는 완곡어법이란 표현의 필요에 의하여 발생된 언어표현의 수단이며
말하기 꺼리는 것을 그렇지 않은 말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조혜선(1999)은
‘완곡어법이 현대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공손한 배려이며, 화자가 주어진 상화에서
사용을
기피하려는
완곡어법이란
표현에
불유쾌한
대한
감정을
대안이다’는
환기시키는
정의를
말을
내렸다.
다른
말로
이종능(2003)은
대체시키거나
직접적이거나 노골적인 표현을 피하고 부드럽고 우회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6)
박승혁(2007:153) 유피미즘(euphemism)이란 단어의 기원은 그리스의 eu(‘well’ 또는 ‘sounding good’을
의미)와 pheme(‘speech’를 의미)에 두고 있다. 유피미즘(euphemism)에 대해서는 ‘즐겁지 않은 주제나
두려움을 피하기 위한 시도에서 사용된 말이나 금기어를 대체한 말(words)이나 구(phrase)’라고 정의하고
있다.
10
말한다. 윤희주(2007)에서는 ‘완곡어법이란 말하기 꺼려지는 표현의 대안이며 이는
체면 손실을 피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전지연(2013)에서는
‘완곡어법은 말하는 이와 듣는 이의 체면을 지키며 심리적 불쾌감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점에서 점잖을 말하기 혹은 공손한 말하기 표현’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리고 문금현(1999)은 두려움이나 공포의 대상이 되는 것을 돌려서 표현한 경우,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는 내용을 돌려서 표현한 경우, 추하고 더러운 것을 돌려서
표현한 경우를 완곡 표현으로 보았다. 김미형(2000), 왕소단(2011)은 완곡 표현이란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에 완곡하게 표현하는 언어 표현을 말한다. 조미경(2005)은
의사소통 당사자가 느끼는 부담, 불쾌, 긴장감 등을 줄이기 위해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돌려서 말하는 표현이라고 하였다. 용요요(2010)은 일상생활에서
완곡 표현은 문자 그대로,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에 상대의 감정을 상하지 않게 하고
부드럽게 돌려서 표현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채춘옥(2014) 완곡 표현은 듣는
사람의 감정이 상하지 않도록 모나지 않고 부드러운 말을 쓰는 표현인데 같은 의미를
지녔더라도 직접적인, 또는 공격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대신 듣기 좋은 단어로
표현하여 상대에게 불쾌함을 주지 않는 것을 말하였다.
앞에서 제시한 선행연구들의 완곡어법이나 완곡 표현에 대한 정의를 종합해 보고
다음으로 한국 학자들이 완곡어에 대한 어떻게 정의하였는지 살펴보기로 하였다.
김광해(1993)에서는 주로 기본이 되는 어휘들이 여러 가지로 부정적인 느낌을 주는
연상을 동반하는 경우에 그 같은 연상을 삭감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일군의
어휘소들을 완곡어라고 하였다.
임지룡(1992)에서 어느 문화권에나 금기어가 있기 마련인데, 특히 죽음, 질병, 성에
관해서는
직설적인
표현을
피하고
완곡어를
사용하여
두려움이나
어색함을
누그러뜨린다고 하였다. 그리고 직접적인 표현과 완곡어 사이에 동의관계가 성립되며
완곡어가 공용어의 자격을 얻을 수도 있다고 하였다.
11
김홍석(2008)은 완곡어란 나쁘거나 좋지 않은 느낌을 꺼리고 회피하여 부드럽게
우회적으로 표현한 어휘를 지칭하였다.
췌이 펑 훼이(2010)에서 완곡어란 듣기에 불편하거나 불쾌감을 주거나 충격을 주는
좋지 않게 들리는 것들에 대해 부정적인 어감을 완화시키는 우회적으로 부드럽게
표현하는 언어 현상이라고 정의하였다.
김욱(2011)은 완곡어는 일정한 장소에서 사람들이 상대방하고 불쾌한 것을 피하려
하여 사용되는 우회한 언어형식이라고 주장하였다.
마풍빈(2012)에서는 완곡어는 원래의 금기된 말을 쓰는 대신 적설적인 표현을
부드럽게 완화시켜 표현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완곡어에 대한 정의에 이어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완곡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기로 한다. 완곡어는 여러 가지 명칭, 표현 양상이 있는데 의사소통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부정적인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떤 단어나 구절 단위의 본의를 약화시켜
다른
말로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완곡에
대한
연구의
이른
시기에
완곡어법라고 하여 20세기에 들어오고 담화의 기능을 논의해서 완곡 표현 또는
완곡어라는 용어는 여러 연구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다. 언어의 기능적 측면에서
완곡어와 금기어가 상대적으로 관계를 말 할 수 있기 때문에 ‘죽음’에 관한 완곡어를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모두 ‘완곡어’라고 칭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완곡어의 몇 가지 관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완곡어는 간접적이고 부드러우며, 우회적이고 함축적이라는 것이다. ‘완곡’은
‘구부러지다’는
의미로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완곡어를
때
‘완곡하게’,
대화를
적극적이고
정의할
‘간접적으로 돌려서’, ‘우회적으로’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의사소통에서
완곡어가
사용하는
직설적인
목적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즉, 청자에게 더 긍정적인 감정을 형성하고
불쾌감을 회피함으로써 더 좋은 인상을 주고 대화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12
셋째, 사회 문명이 갈수록 발전하면서 사람들이 더 우아하고 교양 있는 말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기에 완곡어의 수량과 종류가 끊임없이 발전, 변화하고 있다.
넷째, 완곡어의 응용언어는 금기와 직접 관련이 있다. 금기어를 꼭 해야 하고 그
의미를 표현해야 하지만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완곡어를 쓰인다. 즉, 부정적인
상황에서 직접적으로 발화하지 않고 완곡적인 말을 찾아서 대체한다.
2.2 완곡어의 특징
완곡어의 특징을 잘 파악해야 ‘죽음’에 대한 완곡어를 분석하여 한ㆍ베 언어의
완곡어에 대해 과학적인 비교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인정한다. 완곡어에 대한
연구와 이해는 나라마다 다르지만 완곡어의 특징은 그렇게 큰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완곡어의 특징을 아래 세 가지로 들어보았다.
2.2.1 민족성
완곡어는 지역적으로 보편적일 뿐만 아니라 사회의 각 계층에서도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사람들은 지위의 높낮음과 문화 수준의 차별에 관계없이 완곡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인 차이나 나이, 종교, 직업, 성별의 차이와 상관없이 완곡
표현을 사용한다(진흔흔, 2016:20). 그리고 세계에서 각 나라의 생활 방식, 사고방식
또는 역사, 문화, 경제, 정치 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완곡어를 표현하는 방식도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바로 완곡어의 민족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국제 언어인
영어에서도 많이 완곡어가 표현하는데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의 ‘죽음’을 말하고 싶으면
주로 사람들이 직접적인 „die‟으로 사용하지 않고 „pass away‟ 또는 „pass over‟, „go to
heaven‟ 등으로 많이 말하는 것이다. 또 서방 국가들과 달리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는
한국과 베트남은 „죽음‟에 대한 사상과 관념에도 유사점이 많다. 금기어 „죽다‟ 대신에
부드럽게 표현하는 „눈을 감다 (nhắm mắt xuôi tay)‟라는 완곡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호치민 주석의 죽음을 말할 때는 베트남 사람들은 항상 „đi gặp Các Mác, Lê
Nin(마르크스-레닌을 만나러 가다)’라는 완곡어를 사용한다. 이 완곡어의 사용 원인은
13
호치민 주석이 죽기 전에 남긴 유언을 비롯되었고 그로부터 베트남 전국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말은 한국어에는 전혀 없는데 이는 완곡어에 보편적 뿐만
아니라 민족성이 있음을 보여 준다.
2.2.2 시대성
언어는 사회의 산물인데 사회 발전과 자연스러운 변화가 언어에 반영되는 것이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완곡어는 민족 역사의 문화적 정수를 이어받았기 때문에 그
시대의 특징을 이어간다.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완곡어는
끊임없이 변화해 온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새로운 완곡어가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오래된 완곡어가 점차 사라진다. 어떤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완곡어들이 사용
범위가 넓어지며 많은 사람들의 인정을 받게 되고 고정된 완곡어가 된다. 물론 고정된
완곡어가 절대적이지 않기도 한다. 왜냐하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완곡어도 점차
유연성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Hà Hội Tiên 2014). 예를 들어, 한국 봉건사회에서는
임금의 죽음을 언급하면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완곡어의 ‘봉하다’, ‘봉어하다’ 등을
쓰지만 봉건 제도가 무너진 후 새로운 국가 제도가 형성되어 왕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완곡어들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전통사회처럼 엄격한
신분등급제도가 없어졌지만 죽음을 표현할 때 사회적 신분에 따라 완곡어가 달리
표현되기도 한다. 그리고 베트남어에서 같은 시대가 아니면 말하기의 방식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음녀’에 대해 20세기 초에 베트남어에서는 ‘kỹ nữ(기녀)‟을
사용하는
반면에
요즘에는
프랑스어의
„cavalier‟에서
유래된
„cave‟
또는
„아가씨(gái)’등의 보편적 말을 사용하는 것이다. 언어의 다른 현상과 마찬가지로 오래
존재된 완곡어가 점차 적게 사용되면 시간이 흘러 사라질 수도 있다. 그 대신에
새로운 완곡어가 발생하는데, 이는 역사적 언어 변화의 규칙이며 완곡어도 이러한
규칙에 속한다.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