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과
NGUYỄN THÚY HẰNG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표현 비교 연구
(부정 의문문을 중심으로)
NGHIÊN CỨU SO SÁNH BIỂU HIỆN PHỦ ĐỊNH CỦA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RỌNG TÂM LÀ CÂU HỎI PHỦ ĐỊNH)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 언어학
전공 번호: 8220210.01
하노이-2021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과
NGUYỄN THÚY HẰNG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표현 비교 연구
(부정 의문문을 중심으로)
NGHIÊN CỨU SO SÁNH BIỂU HIỆN PHỦ ĐỊNH CỦA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TRỌNG TÂM LÀ CÂU HỎI PHỦ ĐỊNH)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 언어학
전공 번호: 8220210.01
지도교수: TS. Lã Thị Thanh Mai
하노이-2021
연구윤리 서약서
본인은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생으로 이 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다음의 연구윤리의 기본원칙을 준수할 것을 서약합니다.
첫째,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에 연구결과를 왜곡하지 않고 신빙성이 있는 연구를
수행하며 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합니다.
둘째, 논문작성 시 변조, 위조, 표절 등 부정행위를 하지 않고 직접 작성하였다.
다른 학술 자료를 인용하는 경우 출처를 명확히 밝혔습니다.
위의 사항을 준수하지 않는다면 제재를 받게 됨을 서약합니다.
2021 년 3 월
Nguyen Thuy Hang
i
감사의 글
먼저, 그동안 도움을 많이 주신 La Thi Thanh Mai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자 합니다.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교수님은 항상 섬세하게 그리고 열정적으로
지도해 주셨습니다. 교수님이 격려해 주신 덕분에 끝까지 최선을 다하여 논문을 무사히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Tran Thi Huong 학부장님과 임승선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바쁘신 와중에 귀한 시간을 내어 주시고 논문을 꼼꼼하게 검토해 주시며
소중한 의견도 주셨습니다. 교수님들의 귀중한 의견은 제 석사논문완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항상 제 곁에서 격려해 주며 힘이 되어준 가족과 친구들, 동료들에게도
진심으로 감사한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를 바랍니다.
2021 년 3 월
Nguyen Thuy Hang
ii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 의문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베 부정
의문문의 형태-통사적 특징 및 화용적 의미를 살펴본 후에 비교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 의문문은 차이가 많으므로 베트남인
학습자는 한국어 부정 의문문을 실제 담화 상황에서 유창하게 사용할 수 없으며 그에
따른 오류도 많이 생긴다. 부정 의문문은 한국 사람이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표현으로 중요한 문법이지만 현재 대다수의 베트남 학교에서 이 문법을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 부정 의문문을 담화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을 잘 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여섯
장으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제 1 장에서는 논문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연구 방법 및 범위, 선행 연구 검토
그리고 논문의 이론적, 실용적 의미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개념, 유형 그리고 간접 화행
같은 이론적 배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 3 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형태-통사적 특성 및 화용적
의미에 대해 비교하였으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제 4 장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부정 의문문 사용양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가 화용적 의미
측면에서 ‘제안 기능’ 및 ‘명령 기능’의 오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정리하였다.
제 5 장에서는 제 3,4 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해
부정 의문문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 6 장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연구문제를
지적하였다.
iii
TĨM TẮT
Mục đích của nghiên cứu này là để tìm hiểu các đặc điểm về hình thái, cú pháp, ý
nghĩa ngữ dụng của câu hỏi phủ đị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và so sánh để phát hiện
những điểm tương đồng và khác biệt. Do có nhiều điểm khác biệt giữa câu hỏi phủ định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nên người học không thể sử dụng thành thạo câu hỏi phủ định tiếng
Hàn trong các tình huống đàm thoại thực tế và còn mắc nhiều lỗi. Câu hỏi phủ định là một
biểu hiện ngữ pháp quan trọng mà người Hàn Quốc sử dụng rất nhiều trong cuộc sống sinh
hoạt hàng ngày nhưng hiện nay ngữ pháp này không được giảng dạy ở các trường học có
đào tạo tiếng Hàn tại Việt Nam. Do đó, bài nghiên cứu này đã đưa ra mơ hình dạy và học
hiệu quả để người học tiếng Hàn ở Việt Nam có thể vận dụng câu hỏi phủ định theo đúng
tình huống và có thể giao tiếp tốt với người Hàn Quốc. Bài nghiên cứu này được chia làm
6 chương như sau:
Chương 1 của nghiên cứu trình bày về mục đích và tính cần thiết của đề tài nghiên
cứu, phương pháp và phạm vi nghiên cứu, lịch sử nghiên cứu và ý nghĩa lý thuyết-thực tiễn
của nghiên cứu.
Nội dung của Chương 2 là các lý thuyết liên quan đến đề tài nghiên cứu như khái niệm,
loại hình và hành vi lời nói gián tiếp của câu hỏi phủ đị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Nội dung của Chương 3 là so sánh các đặc điểm hình thái, cú pháp và ý nghĩa ngữ
dụng của câu hỏi phủ đị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đồng thời làm sáng tỏ điểm tương
đồng và khác biệt. Có thể tóm lược một số điểm giống và khác của câu hỏi phủ đị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như sau:
Về hình thái, cấu trúc: (1) Câu hỏi phủ định trong tiếng Hàn chia ra là câu hỏi phủ định
dạng ngắn và câu hỏi phủ định dạng dài nhưng trong tiếng Việt không chia ra như vậy. (2)
Trong tiếng Việt, mẫu câu “có...đâu” được sử dụng như câu hỏi phủ định mang nghĩa phản
bác, tương ứng với mẫu câu trong tiếng Hàn là „았/었다고?‟; mẫu câu “mà...gì/cái gì/ gì
được/được à/sao/ư?” trong tiếng Việt giống với cách dùng phủ định của câu hỏi xác nhận
trong biểu hiện phủ định tiếng Hàn. (3) Tiếng Việt và tiếng Hàn đều có dạng câu có hình
thức là phủ định nhưng ý nghĩa là khẳng định.
Về mặt ý nghĩa ngữ dụng: Câu hỏi phủ định trong tiếng Hàn có thể chia ra 9 chức năng
như yêu cầu (요청), mệnh lệnh (명령), xác nhận (확인), nhấn mạnh (강조), tường thuật
iv
(진술), trách mắng (질책), xin phép (허락 받기), đề nghị (제안), lịch sự (공손). Trong
tiếng Việt cũng có các chức năng này nhưng qua phân tích có thể thấy người Việt thường
thích cách nói trực tiếp cịn người Hàn thường sử dụng cách nói gián tiếp.
Nội dung của Chương 4 là phân tích cách sử dụng câu hỏi phủ định tiếng Hàn của
người học tiếng Hàn tại Việt Nam. Kết quả khảo sát đối tượng người học là sinh viên của
Khoa Ngơn ngữ và Văn hóa Hàn Quốc tại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cho thấy tỉ lệ sai nhiều nhất là ở chức năng ý nghĩa mệnh lệnh và chức năng ý nghĩa đề
nghị. Nguyên nhân dẫn đến tỉ lệ sai nhiều có thể kể đến 2 lý do chính sau: (1) Sự khác biệt
về ngơn ngữ và văn hóa giữa hai nước Hàn Quốc và Việt Nam; (2) Học sinh không được
học cụ thể về câu hỏi phủ định tiếng Hàn.
Nội dung của Chương 5 là đưa ra mơ hình dạy và học hiệu quả dựa trên các nội
dung đã phân tích ở chương 3 và chương 4.
Chương 6 tổng hợp lại các nội dung nghiên cứu, đưa ra những hạn chế của nghiên
cứu này và chỉ ra những nghiên cứu sẽ tìm hiểu trong tương lai.
v
목차
연구윤리 서약서 ............................................................................................................. i
감사의 글 ...................................................................................................................... ii
국문초록....................................................................................................................... iii
TÓM TẮT ................................................................................................................... iv
표목차 ........................................................................................................................ viii
제 1 장: 서론..................................................................................................................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 연구 검토 ..........................................................................................................2
3. 연구 방법 및 범위......................................................................................................5
4. 논문의 의미...............................................................................................................6
5. 논문의 구성...............................................................................................................7
제 2 장: 이론적 배경.......................................................................................................8
2.1 부정 의문문의 개념 .................................................................................................8
2.1.1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개념 ...................................................................................8
2.1.2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개념 ..............................................................................9
2.2 부정 의문문의 유형 ...............................................................................................12
2.2.1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유형 .................................................................................12
2.2.2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유형..............................................................................14
2.3 부정 의문문의 간접화행.........................................................................................17
2.3.1 화행 이론과 간접 화행 ........................................................................................17
2.3.2 부정 의문문의 간접화행 .....................................................................................18
제 3 장: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 의문문 비교.............................................................21
3.1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유형 비교 ..........................................................21
3.2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간접화행 및 화용적 의미 기능 비교 ...................23
3.2.1 요청 기능 ...........................................................................................................23
3.2.2 명령 기능 ...........................................................................................................24
3.2.3 확인 기능 ...........................................................................................................26
3.2.4 강조 기능 ...........................................................................................................27
vi
3.2.5 진술 기능 ...........................................................................................................28
3.2.6 질책 기능 ...........................................................................................................29
3.2.7 허락 받기 기능 ...................................................................................................30
3.2.8 제안 기능 ...........................................................................................................31
3.2.9 공손 기능 ...........................................................................................................32
제 4 장: 베트남인 학습자의 부정 의문문 사용현황 .........................................................37
4.1 조사 대상과 조사 방법 ...........................................................................................37
4.2 학습자의 부정 의문문 사용현황 분석 .....................................................................37
제 5 장: 효과적인 한국어 부정 의문문 교육 방안 ...........................................................51
5.1 부정 의문문의 교육 목표 .......................................................................................51
5.2 부정 의문문의 교육 방법 .......................................................................................51
5.3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모형 ..........................................................56
제 6 장: 결론 ...............................................................................................................61
참고문헌......................................................................................................................63
부록 .............................................................................................................................. I
vii
표목차
<표 1 구종남 (2004)와 이진주 (2011) 부정 의문문의 유형> ........................................12
<표 2 장방 (2011)의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유형> .......................................................13
<표 3 장석진 (1984) 화자의 태도에 의한 부정 의문문의 유형> ....................................14
<표 4 이필영 (1995) 화자 전제 부정 의문문의 유형> ...................................................14
<표 5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유형> ...........................................................................17
<표 6 Searle (1975)의 언표 내적 행위 분류> ..............................................................18
<표 7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 ..........................................................................19
<표 8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유형 비교> ....................................................22
<표 9 요청 화행을 구현하는 부정 의문문 유형> ...........................................................24
<표 10 명령 화행을 구현하는 부정 의문문 유형> .........................................................25
<표 11 확인 화행을 구현하는 부정 의문문 유형> .........................................................27
<표 12 강조 화행을 구현하는 부정 의문문 유형> .........................................................28
<표 13 진술 화행을 구현하는 부정 의문문 유형> .........................................................29
<표 14 질책 화행을 구현하는 부정 의문문 유형> .........................................................30
<표 15 허락 받기 화행을 구현하는 부정 의문문 유형> .................................................31
<표 16 제안 화횅을 구현하는 부정 의문문 유형> .........................................................32
<표 17 공손 화행을 구현하는 부정 의문문 유형> .........................................................33
<표 18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 화용적 의미 기능의 쓰이는 표현> ....................34
<표 19 의미 기능별 학습자의 오답률> .........................................................................48
viii
제 1 장: 서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992 년에 한국과 베트남이 외교관계를 맺은 후부터 양국 간의 관계는 갈수록
긴밀해지고 있으며 한-베 양국의 경제, 문화, 여행, 교육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또한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교류-협력은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및
학습을 촉진시키는 요소가 되었다. 베트남에서 29 개의 대학교에 한국어와 관련된 전공이
개설되어 있으며 15 개의 세종학당이 성립되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보면 베트남
사람들이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다고 할 수 있다 1).
한국어를 교육할 때 이루어야 할 목표는 의사소통이다. 의사소통을 잘 하기 위해서는
문법에 맞는 문장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화 상황에 알맞은 말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간접화행 및 화용적 의미
특성을 살펴보고 베트남인 학습자가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및 화용적 의미 기능을 얼마나
이해할 수 있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한국어 학습자가 화용 능력이 부족하므로 상대방의
입장에서 긍정인지 부정인지 모르기 때문에 오해가 발생할 것이다.
실제 담화 상황에서 부정 의문문의 다양한 간접 화행 및 화용적 의미 기능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문법적 측면과 화용론적 측면에 대해서 교육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및 화용적 의미 기능을 살펴본 후에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힌다. 다음으로 부정 의문문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담화 상황에서 베트남인 학습자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부정 의문문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베트남인 학습자의 사용현황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해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omas (1983: 박신은, 2007 에서 재인용)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담화 상황의 배경과 화자의 태도를 이해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능력이 부족하면 오해가 발생하므로 의사소통이 단절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이해 양상에 대한 연구가 아주
필요하다. 게다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이라는 주제는 많이 전개되지 않고 특히 화용적
의미 기능에 대해서는 한국어 부정 의문문과 비교하는 연구가 없으므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 의문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
한국국제교류재단의 ‘베트남 대학 내 한국학 전공 현황’과 세종학당 재단의 ‘베트남 내 세종학당
현황’ 참고 (2019 년 9 월 기준)
1
2. 선행 연구 검토
지금까지 발표된 부정 의문문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한국어 부정 의문문에 대한 연구이다. 국어학에서의 부정 의문문에 대한
연구를 살펴 보도록 한다.
류현미(1999)에서는 판정 의문문이 대화의 배경이나 맥락에 따라 다양한 뜻을
가진다고 하고 긍정 의문문과 부정 의문문 2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화자의 가정이
긍정적인 경우 대화 상황이 긍정이든지 부정이든지 상관없으며 모두 다 부정 의문문을
사용한다. 긍정적인 상황에서 화자의 가정을 강조하는 의미, 부정적인 상황에서 화자의
가정이 알맞지 않은 것에 놀랍다는 뜻을 표현한다고 하였다. 화자가 부정 의문문을 사용할
때 대화 맥락을 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김미희(2010)에서 부정 의문문 „-지 않-‟과 „-잖-‟, 부가 의문문 „안 그래?‟, „-거 아니-‟,
경북 방언 부가 의문문 „아이가‟의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한국인이 실제 상황에서 자주 사용하는 의미 기능을 추출하지 못했다.
이진주(2011)에서는 학교문법에서의 부정 의문문에 대해서 다루었는데 드라마
대사를 분석하여 실제 국어 사용자들의 설문을 통해 실제 국어 생활에서의 부정 의문문
사용 양상을 밝혔다고 정리하였다. 실제 언어생활에서 부정 의문문의 대답방식에 혼란이
있음을 발견했다. 학교문법의 부정 의문문 내용을 어떻게 기술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정립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은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화용적 의미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를 보도록 한다.
안윤미(2007)에서 상황에 따라 확인, 요청, 권유 등 다양한 의도를 갖으며 이에 따라
대답도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가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면 부정 의문문을 알맞게
활용하고 대답하는 것이 어렵다고 보았다. 한국인 화자들의 부정 의문문 사용 양상을
파악하여 부정 의문문 화용적 의미를 분석하고 한국인 화자들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부정
의문문 사용 양상을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학습자가 실제 습득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만나고 있고 어떤 오류를 자주 범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지 않으며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진강려(2011)는 부정 의문문을 „명령, 부탁 및 제안, 확인, 진술, 공손 및 완곡
표현‟으로 나누어 5 가지 의미 기능을 살펴본 다음에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부정 의문문 사용 양상을 정리하였다. KN2)와 CK3)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부정
의문문 사용 양상을 분석한 후에 학습자의 화용적 능력, 즉 맥락이나 상황에 적합하게
2)
3)
Korean native speaker
Chinese Korean learners
2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논문의 실용적 의미를 잘 나타냈다.
또한, 다른 언어와 한국어 부정 의문문을 비교-대조한 연구는 장방(2011), 장유(2016),
최현진(2008) 등 있다.
장방(2011)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 의문문을 대조하였다. 한국어 부정 의문문은
„명령, 요청, 적극적 진술, 소극적 진술, 환기적 진술‟ 등의 의미 기능을 갖고 한국어와 중국어
부정 의문문의 문법구조는 다르지만 전달하는 의미내용과 비슷하다고 제시하였다. 그러나
한-중 양국의 부정 의문문 발화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변인을 단순하게 했다는 점이
다소 아쉽다.
장유(2016)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부정 의문문을 습득하기가 어렵다고 하고
한-중 부정 의문문의 화용적 의미를 중심으로 대조해 보았다. 한국어 드라마 대본으로
한국어 부정 의문문 3 가지의 화용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4). 이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부정
의문문의 화용적 의미 측면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인
화자에 비해서 다른 인식을 지니고 있는 것을 밝혔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최현진(2008)에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화용적 의미
기능을 파악하고 활용하는 것이 어려우며 부정 의문문을 9 가지 화용적 기능으로
나누었다고 하였다 5). 일본 소설책과 한국 소설책의 말뭉치에 나온 부정 의문문을 기능별
분류하여 사용 빈도수를 분석하였다는 좋은 점이 있는 반면에 분석한 결과를 통해서 교육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양지예(2015)는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을 5 가지 의미로 분류하였고 6) 중국,
일본, 러시아, 영국 등 여러 국적의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이해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급수별,
언어권별, 오류 범위에 따라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Samawadee Kunghae(2018)는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부정 의문문 습득에 대해 알아보았다. 부정 의문문의 화용적 기능은 7 가지로,
화자의 의도에 따라 청자 부담 약화 전략 4 가지, 청자 부담 강화 전략 2 가지로 분류하여
4)
장유(2016)는 한국어 부정 의문문을 크게 질문 기능, 지시 기능, 진술 기능의 3 가지 화용적 기능으로
나누었다.
5)
최현진(2008)는 부정 의문문의 화용적 기능을 ‘질문, 정보전달, 판단 및 의견진술, 확인 및
동의요구, 추정 및 의심제기, 비판 및 교훈, 설득 및 권유, 요청 및 명령, 친교-의례’9 가지로
나누었다.
6)
양지예(2015)는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을 ‘요청, 명령, 동의 요구, 추측, 강조’의 5 가지
의미로 분류하였다.
3
연구하였다 7). 한국과 태국의 사회 문화적인 차이에 따라 부정 의문문 표현 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교육 내용에 반영함으로써 한국인과 태국인 간의 의사소통에서 오해 및
갈등을 줄이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의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전략의 학습을 위한
몇 가지의 방안만 제시하였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는 것에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최한솔(2020)는 한국어 교재와 한국 드라마 대본에 나타나는 부정 의문문의 형태와
간접 화행 기능을 살펴보았다. 베트남인 학습자의 실제 담화 자료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을 알아보았고 베트남인 학습자의
사용 양상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베트남에서는 의문문에 대한 뛰어난 연구는 다음과 같다.
Hoàng Thị Yến (2018)은 한국어 질문행위를 직접 질문행위와 간접 질문행위로
나누어 살펴 보았으며 베트남어 질문행위와 대조하여 이를 토대로 베트남인 학습자가
질문-대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언어행위 뿐만
아니라 질문행위에 대한 이론을 밝히며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질문행위 표현방식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질문행위 대조 결과 및
연구에서 제시한 응용 방향은 한국어 교육, 한-베 통번역 등과 같은 분야에 도움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한국어와 베트남어 질문행위의 화용적 의미를 살펴 보지
못했다는점에서 한계가 있다.
Nguyễn Đăng Sửu (2010)는 영어와 베트남어 의문문의 특징을 살펴본 후에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영어와 베트남어 의문문의 화행 수행 특징을
살펴보면서 간접 화행 및 화용적 의미 측면에서 대조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영어와 베트남어가 사용된 번역서를 분석하여 베트남인 학습자가 번역할 때 자주 범하는
오류를 찾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반면에 이를 바탕으로 번역 분야나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교육 분야에 주의할 점이나 적용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베트남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표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전개되고 있지만
한국어 부정 의문문을 대상으로 하여 살펴본 연구는 아직 없으며 다음과 같이 부정표현에
대한 연구에서 부정 의문문이 작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7)
Samawadee Kunghae(2018)에서 화용적 의미 기능은 ‘청유, 요청, 명령, 추정, 상기, 동의 유도,
불평’, 청자 부담 약화 전략은 ‘선택권 주기, 소극적으로 추정하기, 기억을 떠올리게 하기, 동의
유도하기’, 청자 부담 강화 전략은 강요하기, 강력하게 주장하기’로 분류하였다.
4
Trần Thị Thanh Phương (2010) 한국어-베트남어 부정표현의 통사적, 의미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표현 통사적 특징 및 의미적
특징을 명확하게 대조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반면에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정표현 교육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제한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베트남어
부정표현 통사적 대조 부분에서 나온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통사적 특징을 참고하였다.
Bùi Thị Oanh (2018) 한국어의 부정법과 베트남어의 부정법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양국 언어의
부정법의 공통점과 차이점 분석 결과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부정법을 공부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 부정법을 사용할 때의 자주 범하는
오류를 정리하였다는 장점이 있는데 해결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 베트남어 부정법 부분에서 부정법을 사용하는 확인의문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이 부분을 참고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것에 따르면 지금까지 주로 중국인 학습자나 일본인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며
설문조사를
하거나
한국
드라마
대본이나
소설책의
말몽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부정 의문문을 살펴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베트남에서의
부정표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며 주로 통사적 측면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표현을 비교하는 것이다. 그런데 부정 의문문이라는 주제로 한 연구는 많이 전개되지
않고 특히 화용적 의미 측면에서 한국어 부정 의문문과 비교하는 연구 아직 없다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 의문문의 간접화행 및
화용적 의미 측면에서 비교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3. 연구 방법 및 범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최종 목표는 한국어 학습자가 원어민 화자와 비슷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상대방과 오해 없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정확성, 유창성 교육은 물론이고 적절성 교육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며 구어에서 화자의 발화 의도와 연관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정
의문문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간접화행 및 화용적 의미 기능 측면에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5
위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도록 하겠다. 여러
참고자료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비교-대조하는 방법, 그리고 설문조사 방법을 같이 사용할
것이다.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개념을 정확하게 제시하며 부정 의문문을 여러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책이나 논문을 참고하며 부정 의문문의 간접화행 및 화용적 의미와
관련된 내용을 종합할 것이다. 실제 담화 상황에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9 가지 화용적
의미를 제시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과 비교대조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힐 것이다. 대조한 내용을 바탕으로
화용적 의미 기능에 따라 자주 쓰이는 한국어 표현과 베트남어에 해당되는 표현에 대한
종합표를 만들 것이다.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 부정 의문문을 얼마나 잘 사용하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설문지를 만들어서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부정
의문문 사용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학생 총 33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2020 년 1-2 월 두달
동안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Google form 을 통해서 조사에 참여한 학습자의
자료를 추출한 후에 한국어 능력 수준에 따라서 학습자의 선택을 자세히 분석할 예정이다.
그리고 조사에 참여한 학습자의 오답을 분석한 후에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
부정 의문문을 사용할 때의 어려운 점과 문제점을 밝히기 위해서 인터뷰를 실시할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교수-학습
모형을 만들 것이다.
4. 논문의 의미
본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및 화용적 의미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의사소통을 할 때 담화 상황이나 화자의 태도 및 화자가 전달할 내용을
이해하지 않으면 오해와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담화 상황을
통해서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화용적 의미를 분석하여 비교한 후에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며 한국어
부정 의문문을 사용할 때 범하는 오류를 분석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물론이고 한국인 베트남어 학습자에게도 유익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며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만드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게다가, 본 연구 결과는 실제 한국어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한국어-베트남어
6
통번역 분야에도 실용적 방향으로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다. 첫째, ‘한-베 의사소통 질문
– 대답’ 같은 참고자료를 작성할 것이다. 둘째, „문화간의 의사소통 전략‟을 세울 것이며
셋째, „한-베 번역‟이라는 과목을 설계할 것이다. 이는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 믿는다.
5. 논문의 구성
본 연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부정의문문에 대한 연구목적과 필요성, 연구 방법 및 범위,
선행연구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 2 장에서는 부정의문문의 개념을 정의하고 부정의문문의 유형 분류에 대해 각
학자들의 견해를 소개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 3 장 연구를 위한 여러 가지 부정 의문문의
형태 및 통사적 특징도 살펴보고자 한다.
제 3 장에서는 부정의문문의 9 가지 의미 기능을 살펴본 후에 부정의문문
간접화행에 관련된 화용적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 2 장에서의 내용과
제 3 장에서 제시된 9 가지 의미 기능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의문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여 분석하도록 한다.
제 4 장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사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실제 담화 상황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부정 의문문을
얼마나 잘 사용하는지 파악할 것이다. 그리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를
찾아서 분석하고자 한다.
제 5 장에서는 한-베 양국 부정의문문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베트남인 학습자의
부정 의문문 사용현황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6 장에서는 본 연구의 중심 내용을 다시 요약한 후에 본 연구의 의미있는 점과
한계점을 밝히고 맺은말을 하고자 한다.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이 장에서는 부정 의문문의 개념, 유형과 형태-통사적 특징을 정리하며 부정
의문문의 실현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1 부정 의문문의 개념
2.1.1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개념
국어학-언어학 용어사전(1994)에서 보면 부정 의문문이란 의문이 부정의 발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의문문의 유형을 말한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부정
의문문을 부정의 형태를 띤 의문문이라고 했다. 예를 들면 “철수는 안 왔니?”, “철수를
아직도 못 만났니?” 따위이다 8).
장경기(1993)에서 부정 의문문은 한 문장 안에 부정과 의문이라는 두 가지 양상이
모두 표현되는 즉, 부정문과 의문문의 특성을 동시에 갖는 문장이라고 하였다. 부정
의문문에는 부정문과 의문문의 구성요소가 모두 포함되며 부정의 의도나 의문에 대한
대답을 얻기 위한 의도가 아닌 의문과 부정의 형식과 관련없이 다른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였다.
한국어 부정 의문문도 영어처럼 짤막한 의문문 형태가 평서문 뒤에 붙여 성립되는
경우가 있는데 영어의 tag-question 에 대응되는 것이며 국어에서는 ‘부가의문문’이라고
불러왔다 (박종갑 1991). 이러한 문장에는 자신의 의견에 대한 상대방의 생각을 묻거나
확인하기 위한 긍정적인 평서문 뒤에 부정적인 의문문을 추가한다. 예를 들면 ‘밖에 비가
온다. 그렇지 않니?’라는 예가 있다. 박종갑(1991)에서 부가 의문문은 의미적으로 부정
의문문과 비슷하고 통사적 측면에만 차이점이 있다는 점에서 부정 의문문을 부가
의문문의 상위 범주로 본다고 정리하였다.
형태-통사적 측면에서 부정 의문문은 일반 부정 의문문과 부가 의문문 2 가지로
나누고 화용적 의미 측면에서는 부정이나 질문의 특징을 지니는 순수 부정 의문문과
부정이나 질문의 특징을 지니지 않는 특수 부정 의문문으로 나눌 수 있다.
특수 부정 의문문이 김동식(1981)에서는 부정적 의미를 표현하지 않고 화자가
긍정 명제를 청자에게 확인한다는 점에서 확인문으로 규정하였고 장석진(1984)은 화자의
태도에 건거하여 비중립적인 부가 의문문이라고 정의하였다.
권재일(1992)에서는 확인문은 부정부사 ‘안’이 합쳐 있기 때문에 부정 의문문의
범주에 속한다고 하였다. 확인 의문문은 앞부분이 긍정적인 전제를 지니고 있으면서
8)
국립국어원의 웹사이트 stdict.korean.go.kr 에서 검색하였다.
8
단순히 청자에게 동의나 확인을 요청하기에 사용된다고 하였다. 예를 들면 ‘민수가 집에
가지 않았니?’와 같은 장형 의문문은 화자가 어떤 사실을 알고 청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문장이다. 그리고 ‘이번 방학은 제주도에 가자고 하지 않았니?’라는 반어적 부정 의문문은
장형 부정 의문문의 범주에 해당된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에 따르면 부정 의문문은 형태적으로는 부정법이 사용된
의문문이지만 실제로 ‘의문’과 ‘부정’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다른 의미 기능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1.2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개념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개념을 잘 이해하려면 베트남어 의문문과 부정법의
이론적 지식을 밝힐 필요가 있다.
베트남어 의문문의 개념에 대해서는 2 편으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Bùi Đức Tịnh (1996) Văn phạm Việt Nam; Nguyễn Kim Thản (1996) Cơ sở ngữ pháp
tiếng Việt; Diệp Quang Ban (1996) Ngữ pháp tiếng Việt; Hoàng Văn Thung và Lê A (1996)
Ngữ pháp tiếng Việt 에서 의문문은 화자가 궁금한 것이 있으면 청자에게 질문하는
문장이며 화자가 청자의 대답을 기다리는 것이라 제시하였다.
반면에 Cao Xuân Hạo (1992) Ngữ pháp chức năng tiếng Việt, câu trong tiếng Việt:
cấu trúc, nghĩa và công dụng (베트남어에서의 문법, 문장: 구조, 의미 및 효용)에서
의문문은 단순한 질문 기능 이외에 긍정, 부정, 의심, 논쟁 등과 같은 다른 화용적 의미
기능도 가진다고 정리하였다. 따라서, 베트남어의 의문문은 다음 현상이 생긴다.
1) 의문문의 언어 형태가 비슷하지만 다른 의미 기능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nh có bật lửa khơng?9) (라이터 있어요?)
위 예문에서 베트남어의 의문문 ‘có… khơng’ 형식으로 사용되는데 2 가지의 의미 기능이
있다. 하나는 단순한 질문 기능이며 다른 하나는 요청 기능을 지니고 있다. ‘có… khơng’
형식은 확인 의문문과 마찬가지이다. 이 예문은 라이터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질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예문의 다른 화용적 의미 기능은 화자가 청자에게 라이터가
있느냐고 물어보는 목적은 청자에게 라이터를 빌려 달라고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2) 의문문의 언어 형태가 다르지만 같은 발화 수반 행위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9)
Nguyễn Đăng Sửu (2010), Đặc điểm của câu hỏi Tiếng Anh, đối chiếu với tiếng Việt, p161 참고
9
예문 1: Anh có thể mang báo cáo cho tơi xem được không?10)
(보고서를 가져다가 보여주시겠어요?)
예문 2: Báo cáo hôm qua đâu rồi nhỉ?11)
(어제 보고서는 어디에 있지요?)
예문 1 에서 베트남어의 의문문은 ‘có… khơng?’ 형식으로 실현되며 예문 2 에서는
‘…nhỉ?’ 형식으로 실현되지만 모두 명령의 기능을 나타낸다.
Nguyễn Thị Mai (2000)에서 베트남어 의문문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고 정리하였다.
첫째, 의문문은 평서문, 청유문 같은 의문문이 아닌 문형과 문장 끝에 나온
양태조사 (tiểu từ tình thái)로 구성된다. 베트남어 사전에 근거하여 문장 끝에 나온 à, hả,
hè, hỉ, hờ, hở, hử, ấy, cơ, hà, đó, vậy, thể, đây, đâu, chăng, chứ, sao, nhé, nhỉ, ư… 등과
같은 의문문 양태조사이며 2 개조로 나눌 수 있다. i) 1 조에 à, hả, hở, hử, chăng, chứ, đâu,
sao, ư 의문문 양태조사가 들어 있다. 이 양태조사가 문장 끝에 나오면 그 문장이 의문문이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Minh đi học. Minh đi học à?
(민 씨는 학교에 가요. 민 씨는 학교에 가요?)
Không được hút thuốc Không được hút thuốc sao?
(담배를 피우면 안 돼요. 담배를 피우면 안 돼요?)
ii) 2 조에 나머진 양태조사가 들어 있다. 이 양태조사가 의문문에 올 수 있으며
다른 문형에도 올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Chị ấy đẹp nhỉ? (그녀는 예쁘지요?)
Chị ấy đẹp nhỉ! (그녀는 예쁘네요!)
만약 배경이나 화자의 태도에 근거하지 않으면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의문문은 평서문, 청유문 같은 의문문이 아닌 문형과 질문 기능 단어로
구성된다.
베트남어 의문문 예문을 살펴보면 평서문, 청유문과 같은 의문문이 아닌 문형과 함께 bộ,
dễ, liệu, có lẽ, chắc, chẳng lẽ, không lẽ, chả lẽ, phải chăng, lẽ nào, nào, hình như, dường
như… 같은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의문문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0)
11)
Nguyễn Đăng Sửu (2010), Đặc điểm của câu hỏi Tiếng Anh, đối chiếu với tiếng Việt, p161 참고
Nguyễn Đăng Sửu (2010), Đặc điểm của câu hỏi Tiếng Anh, đối chiếu với tiếng Việt, p161 참고
10
Chả lẽ cậu không thấy thế là sai? (틀리다고 생각하지 않죠?)
Làm như anh đúng chắc? (넌 맞는다고?)
셋째, 의문문에 “hay”, “hay là” 같은 접속사가 나온다. “hay”, “hay là” 같은
접속사가 문장 맨앞에 나오거나 문장 중심에도 나올 수 있다. 다음 모형을 보도록 하겠다.
모형 1: A1 “hay” (“hay là”) A2?
Anh đi hay là tôi đi? (당신이 가요? 아니면 제가 가요?)
모형 2: Hay (hay là) A?
Đi uống bia tiếp nhé? Thôi tôi mệt lắm rồi. Hay về nhà đi?
(맥주 마시러 갈까? 많이 피곤해. 아니면 집에 가는 게 어때?)
넷째, 의문문은 서술문과 같이 의문사로 구성된다. 문장에 bao giờ, khi nào, ở đâu,
như thế nào, ra sao, bao nhiêu… 등과 같은 의문사가 오면 그 문장은 의문문이 될 수 있다.
예문을 보도록 하겠다.
Tại sao anh nói thế? (왜 이렇게 말해요?)
Diệp Quang Ban (1989)은 베트남어 문법 (제 2 집)에서 부정문은 어떤 사물이나
어떤 일이 없음을 확정한 형식으로 진술하는 것이며 부정문을 진정한 부정문, 가짜
부정문, 잠정적 부정문의 3 가지로 분류하였다. 진정한 부정문은 부정의미를 표현하는
부정적 방식이 들어가고 가짜 부정문은 부정의미를 표현하지 않는 부정적 방식이 들어가는
것이다. 그리고 잠정적 부정문은 부정적 방식이 들어가지 않지만 부정의미를 표현하는
문장이라고 제시하였다.
베트남어의 부정문에 대해서는 Trần Thị Thanh Phương (2010)에서 화자가 어떤
일이 사실이 아니라는 뜻을 표현하기 위하여 서술어 앞에 ‘không, chẳng, chưa, chả‟와
같은 부정 부사를 사용하고 ‘금지’의 뜻을 표현하기 위하여 ‘đừng, cấm, chớ‟와 같은 부정
부사를 사용한다고 정리하였다. 문장에서 부정 부사의 위치에 따라 전부 부정문과 부분
부정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문을 보도록 하겠다.
Nó ăn bánh.
그는 케이크를 먹는다.
a) Nó khơng ăn bánh.
그는 케이크를 안 먹는다.
b) Khơng phải nó ăn bánh.
케이크를 먹는 사람이 그가 아니다.
a,b 부정문인데 a)예문은 부정부사가 서술어 앞에 위치하는 전부 부정문이고 b)예문은
부정부사가 „phải‟와 결합하여 주어 앞에 위치하는 부분 부정문이다.
11
위에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보면 베트남 부정 의문문은 부정법이 의문문에
적용된 문장을 말한다. 예를 들어 (a,b)가 베트남어의 의문문 양태조사나 질문 기능
단어와 같이 결합하면 부정 의문문의 형태로 바꿀 수 있다.
Nó khơng ăn bánh à? / Lẽ nào nó khơng ăn bánh?
케이크를 안 먹죠? / 혹시 케이크를 안 먹죠?
Khơng phải nó ăn bánh à? / Lẽ nào khơng phải nó ăn bánh?
케이크를 먹는 사람이 그가 아니야?
다시 말하면 베트남 부정 의문문이란 부정법이 적용된 의문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 의문문에 부정문과 의문문의 구성요소가 포함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질문 기능을 수행하는 것외에도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2.2 부정 의문문의 유형
2.2.1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유형
구종남(2004)에서는 부정 의문문을 ‘동사 부정 의문문’과 ‘계사 부정 의문문'의
2 가지로 분류하였다. 동사 부정 의문문은 ‘안/못’이 사용된 부정 의문문이며 계사 부정
의문문은 계사 ‘이다’의 부정형인 ‘아니다’가 쓰인 부정 의문문이라고 제시하였다.
이진주(2011)에서는
‘안/못/말다’가
사용된
일반적인
부정문을
제외하여
‘없다/모르다’가 쓰인 어휘 부정문도 포함시키므로 부정문의 유형에 따라 부정 의문문을
‘안’형 부정 의문문, ‘못’형 부정 의문문, ‘말다’형 부정 의문문과 어휘 부정인 ‘없다’형 부정
의문문, ‘모르다’형 부정 의문문, ‘아니다’형 부정 의문문으로 분류하였다.
<표 1 구종남 (2004)와 이진주 (2011) 부정 의문문의 유형>
구종남 (2004)
동사 부정 의문문
이진주 (2011)
‘안’형 부정 의문문
‘안’형 부정 의문문
‘못’형 부정 의문문
일반적인 부정문
‘못’형 부정 의문문
‘말다’형 부정 의문문
계사 부정 의문문
‘아니다’형 부정 의문문
‘없다’형 부정 의문문
어휘 부정문
‘모르다’형 부정 의문문
‘아니다’형 부정 의문문
<표 1>에서는 부정문의 특징 및 유형에 따라 부정 의문문을 분류한 것이다.
그리고 부정문은 형식에 따라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으로 나눌 수 있다. 부정 부사
12
‘안’이나 ‘못’을 쓰는 단형 부정과 부정 보조용언인 ‘-지 않다, -지 못하다’를 쓰는 장형
부정이 있다.
이러한 분류 기준에 따라 장방(2011)은 부정 의문문을 단형 부정 의문문과 장형
부정 의문문으로 나누었다 12). 장방(2011)의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분류는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2 장방 (2011)의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유형>
유형
형태
안+용언
못+용언
단형 부정 의문문
용언의 어간 + 면 안 돼?
용언의 어간 + 것 아니냐?
명사 + 아니야?
용언의 어간 + 지 않아?
명사 + 같지 않니?
장형 부정 의문문
특수 장형 부정 의문문
반어적 부정 의문문
부가 의문문
장방(2011)에서는 부정문의 형태 및 통사적인 특징에 따라 단형 부정 의문문과
장형 부정 의문문으로 분류하였고 장형 부정 의문문에는 화용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특수 장형 부정 의문문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특수 장형 부정 의문문에는 화용적 의미에
따라 반어적 부정 의문문 13)과 부가 의문문 14)으로 나누었다.
장석진(1984)은 부정 의문문을 화자의 태도에 따라서 중립적 부정 의문문과
비중립적 부정 의문문 그리고 비중립적 부가 의문문 3 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장석진(1984)은 장형 부정 의문문을 중심으로 하여 분류하고 단형 부정 의문문에 대해
정리하지 않았다. 분류 내용은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한다.
12)
장방(2011)은 한국어 부정 의문문은 형태-통사적 특징에 따라 단형 부정 의문문과 장형 부정
의문문으로 분류하였는데 단형 부정 의문문은 ‘안+용언’, ‘못+용언’, ‘용언의 어간+ -면 안 돼?’,
‘용언의 어간+ 것 아니냐?’, ‘명사+아니야?’ 같은 형식으로 나누었으며 장형 부정 의문문은
‘용언의 어간+ -지 않아?’, ‘명사+같지 않니?’와 특수 장형 부정 의문문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13)
장방(2011)에서는 ‘틀림없이 우리가 이길 거라고 하지 않았니?’ 와 같이 화자의 주장을
강조하는 반문의 형식을 반어적 부정 의문문이라고 정의하였다.
14)
장방(2011)에서는 부가 의문문은 ‘철수가 책을 샀지, 그렇지 않니?’와 같이 평서문 뒤에
의문문을 첨가하는 형식이라고 했다.
13
<표 3 장석진 (1984) 화자의 태도에 의한 부정 의문문의 유형>
부정 의문문 유형
부정 의문문
부가 의문문
화자의 태도
화행
중립적
진위여부 응답 요청
비중립적
보문내용 확인 요청
비중립적
보문내용 동의 요청
이필영(1995)은 화자 전제에 따라서 부정 의문문을 분류하였다 15). 정리한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표 4 이필영 (1995) 화자 전제 부정 의문문의 유형>
유형
화자 전제
의미 기능
문장 전제 부정 의문문
부정
질문
본문 전제 부정 의문문
긍정
확인
부가 의문문
긍정
동의 요청
이필영(1995)에서 문장 전제 부정 의문문은 단순한 질문의 기능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부정 의문문을 말한다. 본문 전제 부정 의문문은 화자가 알고 있는 내용을 사실이라고
생각하고 그 전제 내용이 안 맞는 상황이 생길 수 있으므로 부정적으로 질문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부가 의문문은 화자가 전제 내용에 확신을 갖고 자신이 말하는 내용에
대해 청자가 동의할 것이라고 믿고 자신의 의견을 서술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위의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장방(2011)의 분류 기준에 따라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한국어 부정 의문문을 크게 단형 부정 의문문과 장형
부정 의문문으로 나누고 단형 부정 의문문은 ‘안+용언’, ‘못+용언’, ‘용언의 어간+ -면 안
돼?’, ‘용언의 어간+ 것 아니냐?’, ‘명사+아니야?’가 있으며 장형 부정 의문문은 ‘용언의
어간+ -지 않아?’, ‘명사+같지 않니?’와 특수 장형 부정 의문문이 있다.
2.2.2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의 유형
베트남어 부정 의문문은 부정표현의 통사적 측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한국어의 ‘안’ 부정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어에서 ‘không’ 부정부사는 어떤 상태가 그렇지
않음을 드러내거나 어떤 행위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표현한다. ‘không’ 부정부사는 서술어
앞에 위치하고 문장의 끝에 ‘à / phải không‟ 등과 같이 사용되면 의문문을 만들어 어떤
15)
이필영(1995)은 화자의 전제에 따라 문장 전제 부정 의문문, 본문 전제 부정 의문문과 부가
의문문으로 나누었다.
14
상태나 행위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표현할 것이다. 그리고 어떤 일이 없거나 나타나지
않음을 표현하기 위해 ‘khơng’ 부정부사 뒤에 ‘có’ + 명사 + ‘à / phải không‟을
사용한다 16).
Không + 동사 / 형용사 +(…)+ à / phải khơng?
Khơng có + 명사 + à / phải không?
예문을 들면 다음과 같다.
(1) Anh không uống cafe à/phải không? (오빠가 커피를 안 마시죠?)
(2) Cái áo này không đẹp à/phải không? (이 옷이 안 예쁘죠?)
(3) Ngày mai không có tiết học tiếng Hàn à/phải khơng? (내일 한국어 수업이 없죠?)
의문문을 만들기 위해서 문장의 맨끝에 „à/phải không‟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à‟는 단순한 질문 기능을 하는 의문문을 할 때 많이 사용되며 „phải không‟은 상대방의
의견이나 생각을 확인하기 위해서 확인 의문문으로 사용된다.
게다가 베트남어에서 „không‟ 부정부사는 동사와 형용사 앞에 위치하며 문장 끝에
„nhỉ‟가 나오면 부정 의문문으로 사용할 수 있다.
Không + 동사/형용사 +(…)+ nhỉ?
(4) Áo này không đẹp nhỉ?
(5) Anh không uống café nhỉ?
이 예문들은 형식적으로는 부정 의문문이지만 의미적으로는 상대방의 동의나
의견을 구하는 부정 의문문이다.
베트남어에서 부정을 표현하려면 ‘không’부정부사 이외에 양태사 ‘đâu(어디)’17)도
사용할 수 있다. ‘đâu(어디)는 지시대명사이지만 문장의 끝에 나오면 부정소가 된다. 행동
동사와 결합하면 부정 의문문의 용법으로 사용한다 18).
동사 + đâu?
예문을 들면 다음과 같다.
16)
17)
Bùi Thị Oanh (2018),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법 대조 연구’, 석사논문에서 참고
„Đâu‟는 한국어 ‘어디’의 뜻과 비슷하면서 베트남어 사전에서 품사에 따라 용법이 다르다고
정리하였다.
의문 대명사인 경우 어디의 뜻으로 사용한다. 예: Đi chơi ở đâu? (어디에 놀러 가?)
조사인 경우 동사와 같이 사용하면 부정 의문문의 용법으로 사용한다. 예: Tơi có biết đâu? (내가
알았다고? -> 내가 몰랐다.)
18)
Trần Thị Thanh Phương (2010), 한국어-베트남어 부정표현 대조 연구, 석사학위논문 참고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