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ải bản đầy đủ (.pdf) (105 trang)

가족 관계에 관한 한∙베 속담 대조 연구

Bạn đang xem bản rút gọn của tài liệu. Xem và tải ngay bản đầy đủ của tài liệu tại đây (2.25 MB, 105 trang )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TRẦN MINH PHƢƠNG

가족 관계에 관한 한∙베 속담 대조 연구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đặc điểm tục ngữ về quan hệ gia đì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하노이- 2020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TRẦN MINH PHƢƠNG

가족 관계에 관한 한∙베 속담 대조 연구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đặc điểm tục ngữ về quan hệ gia đì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지도교수: Đỗ Phƣơng Thùy 박사

하노이- 2020


학위논문작성 연구 윤리 준수 서약서

본인은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생으로서 ‘가족 관계에 관한 한∙베 속담
대조 연구’라는 학위 논문을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엄정한 연구를 수행하였음을
서약합니다. 논문 작성 시 연구윤리의 기본원칙을 준수하고 본 논문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결과는 충직하게 수행되었으며, 인용 부분은 규정에 따라 구체적으로 표시되었습니다.
2020 년 11 월 10 일
지은이 : Tran Minh Phuong (서명)

i


감사의 말씀

먼저 지난 2 년 동안 저에게 도움을 주신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 및 한국
문화학부의 교수님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전해드립니다. 본교에서 학습하는 과정
중 귀중한 지식을 가르쳐 주신 덕분에 저희는 사회에 굳건히 진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별히 본 논문은 잘 완성할 수 있도록 바쁘신 와중에도 항상 도와주시고 열정적으로
지도해 주신 Do Phuong Thuy 박사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다음으로 제가 대학원에 다니면서 회사에도 정상적으로 다닐 수 있도록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학비를 지원해주신 삼성전기(주) 베트남법인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저희가 이렇게 멋진 논문을 훌륭하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항상 저희 곁에 있어

격려해 주시고 좋은 조언을 기여해 주시며 도와주신 가족 식구들, 친구들,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저희가 더 큰 발전을 하도록 토대가 되어주셔서 졸업 후에도 그 고마움을
평생 잊지 못할 것 입니다.
저의 능력과 실제 경험이 아직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본 석사 논문을 수행 과정에서
부족한 점이 많으므로 본 연구를 더 훌륭하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지도 교수님들께서
귀한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위의 모든 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 깊이 감사드립니다.
2020 년 11 월 10 일
지은이: Tran Minh Phuong

ii


국문 초록

「가족 관계에 관한 한·베 속담 대조 연구」 논문에서는 가족 관계에 관한 내용이
담긴 800 여 개의 한국 속담과 730 개의 베트남 속담을 대상으로 수집, 통계, 체계적 분류,
논리적 정리 및 대조 등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가족 관계에 관한 양국 속담의 내용에
대한 분석과 대조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은 총 6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제 1 장 서론과
제 6 장 결론 외에 제 2 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며 제 3 장부터 5 장까지는 가족
내에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게 되는 부부, 부모와 자식, 며느리와 시가식구 또는 사위와
처가식구,

형제자매의



가지

관계


기준에

의거하여

한국과

베트남

속담을

분류·대조하였다. 대체로 각 가족 관계가 담긴 양국 속담의 내용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모두 다 반영된다. 부부 관계에 대해서 양국 속담은 부부간의 애정을
강조하였으며 배우자 선택의 중요성을 반영하였다. 그리고 일부일처제를 중시하며, 가족
내 남편과 아내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밖에 부부 간의 갈등과 싸움, 남존여비 사상 등과
같은 부정적인 면을 나타냈다.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두 나라 속담에 인생의
윤리가 반영되었다. 부모의 입장에서 양국 속담은 자식에 대한 절대적인 사랑과
자랑스러움, 자식 양육을 위한 어려움과 희생, 그리고 자식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반영하였으며, 자식의 입장에서 부모의 은혜와 중요성을 깊게 인식하며, 부모를 효도하고
봉양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밖에도 부모에 대한 자식의 부정적인 행위가 반영됨으로써
불효 자식에 대한 조상들의 교훈이 담겨 있다. 며느리 또는 사위에 관한 양국의 속담은
가족 내에서 며느리보다 사위가 더 중요시된다는 관념을 표현하였다. 특히 시어머니와
며느리 간의 관계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여전히 매우 복합한 갈등 관계이기 때문에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를 표현하는 속담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형제자매 관계에 대한
한국과 베트남의 속담은 혈연관계를 강조하였으며, 형제자매 관계에서 제일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화목이다. 이와 함께 두 나라의 속담은 형제자매 관계에서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갈등이 반영되었다. 본 논문을 통해서 두 나라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서, 베트남어와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양국의 속담을 올바르고 정확하게 이해하여 잘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의
적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iii


TÓM TẮT

Đề tài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tục ngữ về quan hệ gia đình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lấy đối tƣợng nghiên cứu là các câu tục ngữ nói về mối quan hệ trong gia đình của Hàn
Quốc và Việt Nam, sử dụng các phƣơng pháp nghiên cứu điển hình trong đối chiếu ngơn
ngữ học nhƣ thu thập, thống kê và phân loại, chọn lọc và sắp xếp một cách có hệ thống,
phân tích, mơ tả và đối chiếu tục ngữ hai nƣớc. Nghiên cứu này tập trung đối chiếu và phân
tích các câu tục ngữ điển hình tiêu biểu cho bốn mối quan hệ chính trong gia đình: vợ
chồng; cha mẹ và con cái; anh chị em; dâu, rể với gia đình nhà chồng, nhà vợ. Nhìn chung,
trong mỗi mối quan hệ, nội dung tục ngữ hai nƣớc đều phản ánh cả những mặt tích cực và
tiêu cực. Về mối quan hệ vợ chồng, tục ngữ hai nƣớc khẳng định tình cảm gắn bó, u
thƣơng của vợ và chồng, thể hiện kinh nghiệm trong việc chọn bạn đời, đề cao vai trị của
vợ và chồng trong gia đình và sự chung thủy sống một vợ một chồng là một đạo lý. Tuy
nhiên, có nhiều trƣờng hợp tiêu cực nhƣ vợ chồng khơng gắn bó hay những bất hịa trong
cuộc sống vợ chồng, tƣ tƣởng trọng nam khinh nữ,... cũng đƣợc đƣa vào trong tục ngữ hai
nƣớc. Tục ngữ về mối quan hệ cha mẹ con cái của cả hai quốc gia đều phản ánh những đạo
lí trong cuộc sống nhƣ về phía cha mẹ là tình u thƣơng vô hạn, sự hy sinh, vất vả trong
việc nuôi dạy con, đề cao việc giáo dục con,...về phía con cái là nhận thức đƣợc công lao
sinh thành dƣỡng dục của cha mẹ và trách nhiệm ngƣời con là phải tôn trọng, kính yêu và
phụng dƣỡng mẹ cha. Tuy nhiên, một số trƣờng hợp con cái bất hiếu cũng đƣợc thể hiện
trong tục ngữ hai nƣớc. Về mối quan hệ dâu rể trong gia đình, tục ngữ hai nƣớc cho thấy
quan điểm chung là con rể đƣợc coi trọng hơn con dâu và đặc biệt nổi bật là mâu thuẫn mẹ
chồng nàng dâu. Về mối quan hệ anh chị em, tục ngữ khẳng định sự gắn bó nhƣ máu thịt
và điều quan trọng nhất là sự hòa thuận anh em trong gia đình. Đồng thời, tục ngữ cũng
phản ánh một số mâu thuẫn do yếu tố vật chất thƣờng thấy trong quan hệ này. Nghiên cứu
này không chỉ cho thấy những điểm tƣơng đồng và khác biệt trong quan niệm về gia đình

mà cịn là có thể ứng dụng trong việc giảng dạy ngoại ngữ cho ngƣời học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iv


목 차
연구 윤리 서약서 ............................................................................................................ i
감사의 말씀 ................................................................................................................... ii
국문 초록 ..................................................................................................................... iii
TÓM TẮT ................................................................................................................... iv
목 차 ........................................................................................................................... v
표 목 차...................................................................................................................... vii
제 1 장 서론..................................................................................................................1
1. 연구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1
3. 연구 방법 ..................................................................................................................4
4. 연구 대상 및 범위......................................................................................................5
5. 논문의 의미...............................................................................................................5
6. 논문 구성 ..................................................................................................................6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2.1. 속담의 정의와 특징 ................................................................................................7
2.1.1 속담의 정의..........................................................................................................7
2.1.2 속담의 특징........................................................................................................11
2.2. 가족에 대한 관념과 특징 ......................................................................................14
2.2.1 가족에 대한 정의와 기능 ....................................................................................14
2.2.2 가족 형성의 요인 ................................................................................................15
2.2.3 가족의 유형 및 형태 ...........................................................................................16
2.2.4 한국과 베트남 가족의 특징 .................................................................................16
제 3 장 부부 관계에 관한 한·베 속담 대조 .....................................................................18

3.1. 공통 입장 .............................................................................................................18
3.2. 남편의 입장..........................................................................................................26
3.3. 부인의 입장..........................................................................................................30
제 4 장 부모와 자식 관계에 관한 한·베 속담 대조 ..........................................................35

v


4.1. 부모의 입장..........................................................................................................35
4.2. 자식의 입장..........................................................................................................45
제 5 장 기타 관계에 관한 한·베 속담 대조 .....................................................................51
5.1. 며느리와 시가식구, 사위와 처가식구 관계.............................................................51
5.1.1. 공통 입장 ..........................................................................................................51
5.1.2. 며느리와 시가식구 관계 ....................................................................................53
5.1.3. 사위와 처가식구 ................................................................................................62
5.2. 형제자매 관계 ......................................................................................................65
제 6 장 결론.................................................................................................................72
참고 문헌 ....................................................................................................................76
부록. 가족 관계에 관한 한국어 속담 .................................................................................I

vi


표목 차

<표 1> 한국어 속담의 사전적 정의 ................................................................................7
<표 2> 베트남어 속담의 사전적 정의 .............................................................................8
<표 3> 가족 형태 구분 ................................................................................................16
<표 4> 부부 관계에 관한 한국과 베트남의 속담 ...........................................................18
<표 5> 부모와 자식 관계에 관한 한국과 베트남의 속담 ................................................35

<표 6> 며느리와 사위에 관한 한국과 베트남의 속담 ....................................................51
<표 7> 형제자매 관계에 관한 한국과 베트남의 속담 ....................................................66

vii


제 1 장 서론

1. 연구 목적
„삶의 지혜‟라고 불리는 속담은 간단하고 간결하고 운율이 있으며, 기억하기 쉽고
전달하기 쉬운 문장의 형태로 자연과 생산 노동, 인간과 사회, 가족 관계 등에 대한 국민의
경험과 삶의 지식, 교훈을 요약하기 위한 민속의 장르이다. 어떤 나라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연구를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그 언어의 속담이다. 베트남과 같이 오랜 전통과
유구한 문화를 가진 나라로서 한국은 삶의 경험과 지혜, 풍속, 습관 및 사고방식 등이
반영되는 속담이 많이 있다. 한 나라의 속담을 연구한다는 것은 이와 같이 그 나라의 문화와
가치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베트남의
문화적으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유사한 속담을 대조해 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과 베트남은 1992 년부터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수립 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문화, 교육, 경제 등 여러 분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러한 영향으로 인하여
두 나라의 언어를 서로 학습하고 연구하는 사람들의 수는 지속적으로 그리고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양국의 교류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하여 언어와 문화에 대한 상호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목적의 일환으로 양국의 속담을
대조·분석해 봄을 통해서 베트남어와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속담을 올바르고
정확하게 이해하고 제대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베트남과 한국은 모두 아시아 국가이며, 옛부터 오랫동안 유교의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에 양국의 문화 속에서 가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중요시 여긴다. 가족
관계에 대한 내용은 두 나라의 속담에 이미 과거부터 자주 등장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학자들이 속담 연구에 관심을 기울여 한국과 베트남 속담의 비교 연구를 시작했다. 그러나
한국과 베트남의 가족 관계에 관한 속담 대조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이러한 사유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베트남의 가족 관계에 관한 속담을 연구 범위로 정하여 대조 ·분석할

것이다. 이것을 통하여 베트남과 한국 학자들에게 두 나라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드러내보고자 하며, 한국어와 베트남어를 공부하는 학생을 위한 교육
과정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 가족 관계에 관한 한국과 베트남 속담에 대한 책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선행 연구 검토
민족의 전통 문화적 가치를 담고 있는 속담은 앞으로 더욱 연구되어야 하는 미개척지로
남아있어 한국과 베트남의 가족 관계에 관한 속담을 연구하는 사례가 많다.

1


먼저 한국의 속담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많은 학위논문, 한국학술지논문, 단행본,
공개강의 및 연구보고서 등이 있으며 연구의 주제도 다양하다. 그 중 한국과 다른 나라의
가족에 관한 속담을 비교한 연구가 적지 않다. 그 중 몇 가지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조혜정 (2015)은 다문화가정의 가족관계 개선을 위해 한국문화교육을 제대로
가족관계 속담을 선정하고, 속담을 활용한 효과적인 한국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조혜정이 한국 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가족 관계에 관한 한국어 속담을 한정하여
연구하였는데, 그 속에 담긴 가족의식을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한국문화 교육을 살펴
보았다.
팟썬 쌍원 (2009)의「한·태 속담에 비친 양국 전통 가족 문화 비교 연구」에서는 가족과
관련된 한국과 태국의 속담을 문화적인 측면에서 비교연구함으로써, 양국의 사상과 의식,
및 가치관을 파악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김창영 (2010)은 가족 관계에 관한
한국어와 일본어 속담 대조 연구하였다. 부모와 자식, 남편과 부인, 시어머니와 며느리, 기타
가족 관계 4 가지 관계에 집중하여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일본의 속담 내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손성영 (2011)의 논문에서는 또한 가족 관계에 관한 한·중 속담을 대조 연구하였다. 연구
제목처럼 저자가 언어학 대조 관점에서 부부 관계, 부모 자식 관계, 고부 관계, 기타 가족
관계에 따라 한국어와 중국어 가족 관련 속담 대조를 바탕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생한
원인인


양국

문화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이밖에도

구어샤오샤오

(2020)은「한·중 속담에 나타난 가족문화 비교연구」라는 논문에서 한국과 중국의
속담들을 부모 자식 관계와 부부간의 관계로 구분하여 비교부석함으로써 두 나라의
가족문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위의 선행연구들은 가족 관계에 대한 한국과 다른 국가 (태국, 중국, 일본)의속담을 비교
연구이고 이 주제에 대한 베트남의 속담과 비교 연구가 아직 없음을 알 수 있다.
베트남의 속담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15 세기 전부터 속담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고
20 세기 초에는 베트남에 민속고전문학에 대한 연구 분야가 나오지 않았지만 많은 유학자가
속담을 발굴하여 편찬하였다. 이후에 속담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진 학자들이 연구를
시행했으나 주요 자료 수집 및 정리를 하였고 1975 년부터 베트남에서의 속담 연구는 주로
언어적 측면과, 특히 문학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지금까지 속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요한
업적을 달성하였으나 여전히 발굴, 정리되지 않은 속담이 많다.
다음으로

베트남에서

속담에


관한

연구는

Chu

Xuan

Dien

(쭈수언디엔)

(1975)의『베트남 속담』연구를 빼놓을 수 없다. 저자에 따르면 사회학적 관점에서의

2


베트남어 속담 연구가 대개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하나는 속담 연구에 있어서
연구의 대상, 즉 속담의 기원과 내용, 의미를 해설하는 일이다. 다른 하나는 속담이 다양한
사회 과학 분야의 대상을 연구하는 사회적 문서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Nguyen Thai Hoa
(응웬타이화) (1997)의『베트남 속담 – 구조와 작시법』에 대한 연구에서는 문학과
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연구 각도로 속담의 이론적 측면에 대한 견해와 연구의 성과를
요약하였다. 이와 함께 가족 속담에 대해 Pham Viet Long (팜비엣롱) (2012)의 연구에서는
베트남 속담과 민요 사전에서 나타나는 가족 관계에 대한 연구 조사와 통계를 정리하여
발간하였다. 저자는 각 가족 관계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Tran Thi
Thom (쩐 티 텀) (2020) 「베트남 속담과 가요에서 나타나는 사람의 도리와 현시대 의미」
박사논문에서는 철학적 관점에서 저자가 가족 관계에 관한 속담을 바탕으로 인생에서
사람의 윤리를 집중적으로 규명했다. 그러나 상기의 연구들은 베트남의 속담만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고 한국의 속담과 비교하지 않았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속담을 비교한 베트남 학자의 몇 가지 연구는 있었다.

Than Thuy My Linh (탄투이밀린) (2012)은「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안면부관련 속담
대조 연구」라는 논문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 눈, 귀, 머리, 코, 입, 입술, 혀가 들어
있는 안면부에 관련한 양국의 속담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서 서로 대조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자가 한국과 베트남의 속담들의 의미적 측면에서 양국어의 동일한 속담, 한국어에만
있는 속담, 베트남어에만 있는 속담 과 같은 3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Chau Ngoc Hieu (짜우응윽히우) (2013)의「한국과 베트남의 속담을 통한 문화적
유사성에 관한 내용 및 논의」에서는 양국의 문화, 역사, 사회, 생활 풍습에 대한 의미가
비슷한 속담들을 분석했고 두 나라의 문화적인 공통점에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두 민족의 속담을 통해서 공통점을 찾는 데 집중하였고 차이점을 언급하지 않았다.

Nguyen Thi Ngoc Anh (응우엔티응옥앵) (2014)의「한국과 베트남의 속담 비교
연구」에서 저자가 한·베 속담의 문장 구조와 속담의 소재 비교 중심의 연구에 집중하였다.
양국 속담의 문장구조에 대해서는 단순문, 중문과 복문, 수사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속담의 소재에 대해서는 동물, 가족과 같은 유형 소재와 종교와 믿음, 생활풍습, 언어와 같은
무형 소재 등의 5 가지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두 나라 속담의 형식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를 대조·분석함으로써 양국의 역사와 사회, 문화, 그리고 언어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그러나 가족에 대해 각국가의 12 개의 속담만을 선정하여 기술하였고 가족 관계를
분류하여 분석하지 않았다.

3


Ho Thi Long An (호 티 롱 안) (2015)은「가족 관계 속에 나타난 한국과 베트남의
고부관계 비교 연구」 박사 논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자가 역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며느리와 시어머니 간의 관계에 대한 양국 속담과 민요를 바탕으로 한국과
베트남의 고부관계를 비교하여 양국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부각시켰다.


Nguyen Thi Ngoc Anh (웬티응옥아잉) (2017)의「한국과 베트남의 신체어휘 관련 속담
비교 연구」에서는 신체와 관련된 속담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속담 비교를
토대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연구했다.
특히 Hoang Thi Yen(황티이엔)은 한국 속담과 베트남 속담에 대한 연구를 많이 발표하였
다. 예를 들어 Hoang Thi Yen (황티이엔), Nguyen Thuy Duong (응웬튀즈엉) (2016)
「호랑이와 관련한 한국의 속담 연구」, Hoang Thi Yen (황티이엔) (2017) 「고양이와
관련한 한국의 속담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 Hoang Thi Yen (황티이엔) (2018) 「말(馬)와
관련한 한국의 속담을 통해 한국 문화의 특징 연구」 Hoang Thi Yen (황티이엔), 배양수
(2020) 「개와 관련한 한국의 속담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 등이 있다. 즉, 십이지간
동물을 소재로 한국 속담을 분석하고 베트남과 비교한 연구들이다.
위의 제시한 선행연구들에서 속담에 대한 연구가 매우 광범위한 주제이며 다양한
연구의 관점에서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주제라고 알 수 있지만, 학자마다 연구
관점 또는 연구 주제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신체, 안면부, 동물, 식물에 관한 대조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가족 관계에 대한 한국과 베트남의 속담을 구체적으로 비교한 연구가
아직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양국 간의 가족 관계 속담을 대상으로 대조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국 및 베트남의 사전과 학습자의 관점에 따른 속담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제시한다. 그리고 베트남 문화와 한국 문화의 가족 개념과 가족 관계에 관한 개념을
기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할 것이다.
첫째, 조사, 통계 및 분류 연구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연구를 위해 첫째 두 나라의 속담
속에 언급된 어휘사전, 속담 사전 등을 참고한다. 그 다음에 가족 관계 관련 속담에 대한
통계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입력한다. 부부, 부모 자식, 형제 자매, 며느리 사위 및 기타 관계
등에 따라 속담을 분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속담을
취합할 수 있으며 분석에 도움이 될 것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구체적으로 분류할
수록 한국어와 베트남어를 더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대조할 수 있다.

4



둘째, 이번 연구에서 속담 의미 분석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속담은 여러 분야에 대한
국민들의 경험과 지식이 담기며 오래 전부터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한국어와 베트남어
속담의 의미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고어를 사용하거나 배경에 따라 의미가 다른 경우가
많다. 형식적으로는 속담에 가족 관계에 관한 단어가 나오지만, 내용적으로는 가족 관계에
대한 의미를 언급하지 않으며 다른 의미나 교훈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속담의
의미 분석을 통해 가족 관계에 관한 속담들을 선정하며 대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한국 속담과 베트남 속담을 비교·대조함으로써 논문을 진행할 것이다. 비교대조
연구 방법은 언어학 연구에서 전형적인 연구방법이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속담 분류를
바탕으로 양 국가 속담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낼 것이다.
4. 연구 대상 및 범위
본 연구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 언어 연구 중에서 속담 특히 가족 관계에 관한 속담을
대조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고려대 한국어 속담 사전의 총 7409 속담과
국립국어원의 웹사이트

1

의 7437 속담 중에 게시되어 있는 가족 관계에 관련

속담들과 Nguyen Xuan Kinh 외 (2002) 베트남 속담 사전, Nguyen Lan (2003)의 베트남어
속담 성어 사전, Vu Ngoc Phan (1993) 의 베트남어 속담 민요 사전, Vu Dung, Vu Quan Hao,

Vu Thuy Anh (1993) 속담 성어 사전 등에 나타나는 속담들을 대상으로 대조 연구 실시한다.
초기 통계 결과에 따라 가족 관계를 언급하는 한국 속담은 총 800 개 이상이고, 그 내용과
유사한 베트남 속담은 약 700 개 이상이 있다. 이렇게 수집된 속담을 바탕으로 대조 및
분석을 집중적으로 해보고자 한다.
가족 관계에 관한 속담은 가족 관계만큼 다양하고 풍부하지만,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양국 전체 가족 관계 속담을 바탕으로 부부, 부모와 자식, 며느리와 시집, 사위와 처가 및
형제자매 사이의 관계 네 가지로 나누어서 베트남어와 한국어 속담을 대조할 것이다. 각
관계별로 본연구자는 두 언어의 속담의 수, 속담에 담긴 내용의 유사점과 차이점 등을
분석하여 비교하고 속담에 사용된 수사학적인 방법, 동의어속담, 반의어속담 등도 분석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범위는 상기의 네 가지의 가족 관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5. 논문의 의미
본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한국과 베트남의 언어 또는 문화에 대한 연구 분야에 다음과
같은 기여를 기대한다. 가족 관계에 대한 한국과 베트남 속담을 체계적으로 통계하고
분류된 자료가 되기도 희망한다. 또한 한국과 베트남의 언어 및 고전 연구 학자들에게 두
나라의 문화적 특징과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는데
1

www.korean.go.kr

5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한국과 베트남의 속담을 비롯한 언어와 문화에
관심을 가진 학자는 물론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도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양국 독자들이 서로의 문화를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족 관계에 관한 한국과
베트남 속담에 대한 책을 출판할 계획이 있다.
6. 논문 구성
본 논문에서는 서론과 결론을 포함하여 총 6 장으로 구성된다.
제 1 장 서론에서는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을 밝히고, 연구와 관련된 한·베 속담에 대한
연구, 가족 관계 관련 속담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제 2 장에서는 연구 주제와 관련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다. 한국과 베트남의 사전과
언어학자의 관점에 따른 속담의 정의와 특징을 기술하며, 한국과 베트남 문화에 있어서
가족에 대한 개념과 기능, 가족 형성 요인과 유형, 그리고 형태와 특징을 제시한다.
제 3 장에서는 부부 관계에 관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속담을 대조한다.
제 4 장에서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에 관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속담을 대조한다.
제 5 장에서는 며느리와 시가식구, 사위와 처가식구, 형제자매의 관계에 관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속담을 대조한다.
마지막으로, 제 6 장에서는 결론을 정리하고, 연구의 목적을 재확인하면서 본 연구의
한계점도 밝힌다.


6


제 2 장 이론적 배경

본 장에서 한국과 베트남의 속담과 가족에 관련한 이론적 배경을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다.
2.1. 속담의 정의와 특징
속담은 베트남과 한국의 민간문학일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속담은 귀중한 유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속담은 짧은 말 속에 우리
조상들의 민족성과 숨결, 지혜와 교훈을 담고 있으며 우리의 언어생활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과 베트남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속담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오래전부터 속담이 양 국가 학자들의 연구 주제와 큰 관심사가 되었다.
그러면 각 국가의 속담은 무엇인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아래 같이 알아보겠다.
한국과 베트남의 속담에 대한 정의가 다양한데 대표적인 사전적 정의와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에서 출판된 사전과 베트남에서 출판된 사전에
나와 있는 속담의 정의를 고찰하자고 한다.

2.1.1 속담의 정의
2.1.1.1 속담의 사전적 정의
1) 한국어 속담의 사전적 정의
속담이 한국의 사전에서 많이 언급되어 있다. 국립국어원의『표준국어 대사전』,

『대국어

사전』,

『국어사전』,


『국어

대사전』,

『새우리말



사전』,

한국민족대박과사전, 『한국어기초사전』, 『우리말 속담 큰 사전』, 『다음 국어사전』,

『학습용어사전』 등과 같은 사전들에서 속담을 정의하였다. 속담의 사전적 정의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대표적인 여섯 개의 사전에서 나타난 정의를 살펴하고자 한다.
<표 1> 한국어 속담의 사전적 정의
사전명
표준국어 대사전,
국립국어원

『대국어사전』

2

정의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쉬운 격언이나 잠언.” 2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와 사람들의 마음 속에 깊은 동감을
얻고 널리 퍼진 격언.”3

국립국어원 웹사이트 참고,
이숭녕 (1984), 『대국어사전』, 삼영출판사 (p.1165)


3

7


『국어대사전』,

“옛적부터 내려오는 민간의 격언으로 교훈, 풍자, 경험, 유회

민중서관, 1986.

등의 뜻이 담긴 짧은 말.”

한국민족대백과사전

“교훈이나 풍자를 하기 위하여 어떤 사실을 비유의 방법으로
서술하는 간결한 관용어구.”4
“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쉽고 짧으면서도 소중한 교훈을 담고

학습용어사전

있는 말. 속담은 쉽고, 짧은 말로 되어 있으며, 옛날 사람들의
생각과 지혜, 생활 모습이 담겨 있다. 그리고 일상에 필요한
소중한 삶의 교훈도 담겨 있다.”5

위에서 제시한 한국어 속담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큰 차이점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사전적 의미에서의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내려 오는 세속적이고 소중한 교훈이
담긴 말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베트남어 속담의 사전적 정의

베트남의 속담도 오래 전부터 나타나서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사전에서
나타나는 것이 분명하다. 속담의 정의에 대하여 베트남어 사전에 많이 나타났는데 아래와
같이 대표적인 다섯 개의 사전에서 속담은 정의되었다.
<표 2> 베트남어 속담의 사전적 정의
사전명

정의

『Từ điển tiếng Việt 』

“Câu nói ngắn gọn, thƣờng có vẫn điệu, đúc kết tri thức, kinh

(Viện Ngôn ngữ học)

nghiệm sống và đạo đức thực tiễn của nhân dân.”6

(베트남어 사전,

(인간의 지식과 삶의 경험 또는 윤리가 담긴 운율이 있는 짧은

언어학연구원)

말이다.)

『Từ điển Bách khoa Việt “Tục ngữ là một bộ phận của văn học dân gian gồm những câu ngắn
Nam 』
(베트남 백과사전)

gọn, có vần điệu, đúc kết tri thức, kinh nghiệm sống và đạo đức
thực tiễn của nhân dân.”7

(속담은 민간 문학 종류의 하나이며, 인간의 지식, 삶의 경험 및
실제 윤리를 담은 운율이 있는 짧은 문장들이다.)

『Đại từ điển tiếng Việt 』

“Tục ngữ là câu nói ngắn gọn, có vần điều, lƣu truyền trong dân

4

한국민족대박과사전의 웹사이트 참고, />다음의 웹사이트 참고, />6
Hoàng Phê (황페) (2003), 『Từ điển tiếng Việt』(베트남어 사전), Nxb Đà Nẵng (다낭 출판사) (p. 1062)
7
국가 위원회 (2005), 『Từ điển Bách khoa Việt Nam』(베트남 백과사전), Nxb Từ điển Bách khoa (백과사전
출판사) (p. 676)
5

8


gian, đúc kết tri thức, kinh nghiệm thực tiễn của con ngƣời về tự

(베트남어 대사전)

nhiên, xã hội, cuộc sống, đạo lý ở đời.”8
(속담이란 민중의 생활에서 전달되면서, 자연, 사회, 삶과
인생의 윤리에 대한 인간의 지식과 실제 경험이 담긴 운율이
있는 짧은 말이다.)

『Từ điển thành ngữ và tục “Tục ngữ là những câu hoàn chỉnh, có ý nghĩa trọn vẹn, nói nên một
nhận xét về tâm lý, hoặc một câu khuyên nhủ, một câu phê phán,


ngữ Việt Nam』
(베트남

속담과

성어

사전)

một câu khen hay một câu chê hoặc một kinh nghiệm về một nhận
thức tự nhiên hay xã hội.”9
(속담이란 심리적 논평, 훈계, 비판, 칭찬 또는 자연과 사회에
대한 경험이 담긴 하나로 완결된 문장이다.)

『Ngữ văn lớp 7』

“Tục ngữ là thể loại văn học dân gian nhằm đúc kết kinh nghiệm, tri

(중학교 2학년 국어국문 thức của nhân dân dƣới hình thức những câu nói ngắn gọn, súc tích,
có nhịp điệu, dễ nhớ, dễ truyền.”
교과서)
(속담이란 기억 또는 전달하기 쉬운 운율이 있고 짧고 간결한
문장으로 인간의 경험과 지식이 담긴 민간문학의 한 장르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베트남어 속담의 사전적 정의들도 살펴보면 차이점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대체적으로 속담은 자연과 사회에 대한 경험이 담긴 운율이 있는 짧은 문장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2.1.1.2 한국과 베트남 학자들의 속담에 대한 견해
베트남과 한국에는 속담 내용이 풍부하며 문장 수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오랫동안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어왔고 연구 주제가 되었다. 좀 더 학문적이고 구체적으로 규명한 양국

학자들의 속담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한국 학자의 견해
안혜숙(2007)은 아래와 같이 한국 학자들의 속담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김문창(1979)은 속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는데 속담이 간결한 형식 속에 은유적
표현으로 인생을 풍자하고 훈계하는 관용어라고 한다.

10

『속담-우리 민족 문학의

이해』(김선풍, 1980)은 속담은 민족의 중지로 만들어진 대중의 진리·사상·도덕이며
8

Nguyễn Nhƣ Ý (응웬느이) (1998), 『Đại từ điển tiếng Việt』(배트남어 대사전), Nxb Văn hóa thơng tin (정보문화
출판사) (p.1747)
9
Nguyễn Lân (응웬 란) (2003), 『Từ điển thành ngữ và tục ngữ Việt Nam』(베트남 속담과 성어 사전), Nxb Văn học
(문학 출판사)
10
김문창(1979), 『속담론 서설』, 강원대학교 논문집

9


세계관을 안고 있는 언어의 전승적 산물이자 문화적 산물이라고 정의했다.
심재기 (1986)는 속담이란 어떤 사실을 비유로 서술하는데 쓰이는 관용구로서 교훈적
또는 풍자적 의미를 화용론적으로 지닌 것이라고 한다.11

『한국민속학개설』(이두현, 1987)에 따르면 속담이란 사회적 소산으로 일상생활을
소재로 삼고 세태를 풍자·은유하는 민중의 사상이며, 처세의 교훈으로 민중에 의한 사회적

소산이라고 제시하였다.
조재윤 (1988)에 따르면 속담은 보통 사람들이 일상 체험에서 얻은 세속적인 생활의
지혜를 비유적으로 간결하게 나타낸 관용적 표현이라고 한다. 12
김기창 ( 1991)은 의해 속담은 좁은 의미로는 어떤 종류의 교훈·기지· 상상·경계·
비유·풍자 또는 모든 관찰과 경험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표현하는 말로서, 곧 인간 생활에
관한 진리를 말할 목적으로 쓰이는 말이라고 정의했다.13
송명수(1998)는『언어에 관한 속담의 의미 기능』에서 속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는데,
속담이 어떤 사실을 비유로 서술하는 데 쓰이는 간결한 형식의 상징성을 지닌 관용구나
민중들의 생활 경험에 대한 표현이라고 한다.
이상에서 제시한 한국 학자들의 속담에 대한 정의를 보면 속담의 사전적 의미와 큰
차이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형식적으로 속담은 간결하게 나타낸 관용적
표현이고 내용상으로 속담은 민중들의 생활 겸험과 지혜를 담고 있다고 한다.
2) 베트남 학자들의 견해
베트남에서도 많은 학자들이 속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였는 다음과 같이 대표적인
학자들의 견해를 알아 보고자 한다.
Chu Xuan Dien (주수언디엔) (1975)에 따르면 속담이란 짧은 문장으로 이루어졌고,
함축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인민들이 창조하여 대대로 전달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14
Vu Ngoc Phan (부응옥판) (1992)에서는 속담은 의견을 표현할 경향이 있는 통속적인
말이며 경험과 윤리, 공리에 의해 사람과 사회를 판단하거나, 지식에 의해 사람과 우주를
판단하는 의견을 담은 말이라고 제시하였다.15
Ma Giang Lan (마장란) (1999)은 속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는데, 속담이 간결한 문장으로
심재기 (1986), 『국어의미론』, 집문당.
조재윤 (1988), 「한국 속담의 구조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김기창 (1991), 『속담교육소고』
14
Chu Xuân Diên (주수언디엔) 외 (1975), 『Tục ngữ Việt Nam』 (베트남 속담), NXB Khoa học xã hội(과학 사회
출판사).
15
Vũ Ngọc Phan (부응옥판) (1992), 『Tục ngữ, ca dao, dân ca Việt Nam』(베트남의 속담, 가요, 민요), NXB Khoa

học xã hội (사회과학 출판사).
11
12

10


내용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일상생활에서 인간의 말이다. 그리고 속담은 세계관 또는
사회와 인간에 대한 민중의 지식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했다.16
Nguyen Van No (응웬반너) (2008)은 속담이란 사고의 „산품‟이며, 귀중한 지식과 경험
또는 인생철학을 뜻깊고 심오하게 표현하는 „도구‟이고 대대로 이어진 것이다.17
Pham Viet Long (팜비엣롱) (2012)은 속담이 민간문학의 장르 중에 하나이며 일상적인
말에서 형성되고 사용된다. 지식과 삶의 경험을 담은 운율이 있고 짧은 문장이라고
제시하였다. 18
위에서 속담에 대한 정의는 베트남 학자마다 견해하는 말이 약간씩 다르지만 속담의
사전적 의미와 큰 차이점은 없음을 알 수 있다. 대부분 속담이 운율이 있고 짧은 문장의
형식으로 삶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2.1.2 속담의 특징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속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실행되고 있었다. 한국과 베트남의
선행 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속담은 몇 가지 특징을 지녔음을 알 수 있다. 크게 내용적인
면과 형식적인 면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각 국가 속담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다.
2.1.2.1 한국 속담의 특징
우선 김문창 (1979), 심재기 (1982), 최창렬 (1999) 등 한국학자의 연구들을 고찰하여
한국속담의 특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 속담의 내용면에서의 특징은 교훈ㆍ경계,
비평ㆍ풍자, 지식ㆍ진리 전달, 통속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교훈ㆍ경계의 특징의 예는 “돈
모아 줄 생각 말고, 자식 글 가르쳐라.”와 같은 것이고, 비평ㆍ풍자적 특징의 예는 “물과 불과
악처는 삼대의 재액이다”와 같은 속담이 있다. 지식ㆍ진리 전달이란 특징은 “백성의 입
막기는 내 막기보다 어렵다”와 같은 것이고, 통속성이란 “개똥이라도 씹은 듯” 등 속어, 또는

비어가 많이 쓰인다는 말이다.
형식적인 면에서 속담은 간결성, 운율성, 비유성 등을 지닌다.
간결성이란 형식이 짤막하다는 것이다. 속담의 외형구조는 긴 형과 짧은 형의 두 가지
형식으로 나눈다. 긴 형은 복문 또는 중문이며, 짧은 형은 대체로 복합적 개념을 나타내는
어구이거나 단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16

Mã Giang Lân (마장란) (1999), 『 Tục ngữ, ca dao Việt Nam』(베트남의 속담, 가요), NXB Giáo dục (교육 출판사)
Nguyễn Văn Nở (응웬반너) (2008), 『Biểu trƣng trong tục ngữ ngƣời Việt』(베트남 속담에서 나타나는 상징),
NXB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하노이국립국가 대학교 출판사)
18
Phạm Việt Long (팜비엣롱) (2012), 『Tục ngữ, ca dao về quan hệ gia đình』 (가족 관계에 관한 속담, 가요), NXB
Chính trị Quốc gia (국가 정치 출판사)
17

11


또한 속담의 외형구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은 통사적 조화와 운율적 조화를 들 수
있다. 운율적 조화는 성취하기 위해서 율격과 압운의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압운에는 두운과 각운, 그리고 단어 반복의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꿩 먹고, 알
먹고”라는 말이다. 윤격은 “공든 탑이 무너지랴”와 같은 4 ㆍ 4 조, 또는 “사랑은 내리
사랑”과 같은 3 ㆍ 4 조 등의 율조(律調)를 지닌다는 말이다. 통사적 조화를 잘 보이는 모든
속담들은 복문 또는 중문의 있는 긴 형의 속담이다. 예를 들어서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불 없는 화로, 딸 없는 사위” 등이 있다.
그리고 형식 면에서 속담은 운용에 있어 비유적인 표현을 많이 쓰고 있는 특징을 지닌다.
비유 표현이란 속담의 본의가 효과적이고 신선하게 전달되기 위하여 본의와 유사성이 있는
매체를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 비유의 방법에는 직유, 은유, 풍유 등 수사법상 비유법에
속하는 대부분의 기법을 동원한다. 그래서 이런 비유의 특징은 언제든지 구체적이고 사실적

차원의 진술을 유발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시앗 죽은 눈물만큼”과 같은 직유법, 또는
“가지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와 같은 은유법, “산에 가야 범을 잡는다”와 같은
풍유법을 지닌 대표적인 속담들이다.
한국 속담은 속담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특징과 함께, 한국 고유의 특징을 반영한다. 한국
속담은 특히 한국 고유의 특징을 반영하므로, 이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 심지(心志)와
성정을 알 수 있다.
2.1.2.2 베트남 속담의 특징
한국에 비해 베트남에서는 속담의 특징이나 속담의 내용 및 형식을 다루고 분석하는
학자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대부분 속담이 속담 사전으로 제시되고 일반 도서로는 잘
출판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 Vu Ngoc Phan 의 “베트남의 속담, 가요, 민요” 라는 책과 Tran
Thi Thom(쩐티텀)의 「Đạo làm ngƣời trong tục ngữ, ca dao Việt Nam và ý nghĩa hiện thời của nó」
(베트남 속담과 가요에서 나타나는 사람의 도리와 현시대 의미) 박사논문에서는 베트남
속담의 특징을 내용과 형식 양면으로 나누어 다루었다19.
베트남 속담 내용면에서 특징은 노동 생산, 가정의 살림살이, 사회 생활에 대한 사람들의
경험에 따른 판단이다. 그 내용은 여러 세대에서 가져 왔기 때문에 풍부하고 견고하다. 예를
들어 자연생태에 대한 경험이 반영되는 속담은 “Nhiều sao thì nắng, vắng sao thì mƣa (하늘에
별이 가득하면 내일 쨍쨍할 것이고 별이 적으면 내일 비가 올 것이다)”, “Chuồn chuồn bay
thấp thì mƣa, bay cao thì nắng, bay vừa thì râm (잠자리가 낮게 날면 비가 올 것이고 높게 날면
Trần Thị Thơm (쩐티텀) (2020), 「Đạo làm ngƣời trong tục ngữ, ca dao Việt Nam và ý nghĩa hiện thời của
nó 」(베트남 속담과 가요에서 나타나는 사람의 도리와 현시대 의미), 호찌민국구정치 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12


쨍쨍할 것이고 가운데에 날면 날이 맑을 것이다)” 와 같은 것이고, 인생이 반영되는 속담은
“Vỏ quýt dày, móng tay nhọn (두꺼운 귤껍질에는 날카로운 손톱이 있다)”와 같은 것이고,
노동생산에 대한 경험을 표현하는 속담은 “Nhất nƣớc, nhì phân, tam cần, tứ giống (일등은 물,
이등은 비료, 삼등은 근면, 사등은 수종이다)”와 같은 것이고, 가족관계 또는 사회관계가
반영되는 속담은 “Có ni con mới biết lịng cha mẹ (자식을 길러 봐야 부모 사랑을 안다)”,

“Bán anh em xa, mua láng giềng gần (먼 사촌보다 가까운 이웃이 낫다)”와 같은 속담이 있다.
형식적인 면에서 베트남 속담은 주요 네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베트남 속담은 민속 문학의 한 장르로서 삶의 모든 측면의 경험이 반영되지만
간결하고 단순한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베트남 속담의 외형구조도 한국 속담과 마찬가지로
긴 형과 짧은 형을 두 가지로 분류된다. 짧은 형은 대부분의 단문이다. 예를 들면 “Ếch ngồi
đáy giếng (우물 안 개구리)”, “Lời nói gói vàng (말이 금이다)”, “Thuốc đắng giã tật (입에 쓴
약이 몸에 좋다)”와 같은 속담이다. 긴 형은 주요 복문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Lời nói
chẳng mất tiền mua, lựa lời mà nói cho vừa lòng nhau (말은 돈으로 사지 않으니까 서로 마음에
들도록 말을 해라)”, “Cha mẹ sinh con, trời sinh tính (부모는 자식의 육체를 낳을 뿐 자식의
성격은 하늘이 내린다. )”등이 있다.
둘째, 대부분의 속담들은 운율이 있다. 그리고 속담의 운율도 다양하다. 짧은 형에는 주요
문장의 가운데 압운하다. 예를 들면 “Chín ngƣời mƣời ý (사람은 아홉 명이지만 의견은 열
가지가 있다)”에서 나타나는 “ngƣời”와 “mƣời”은 같은 “ƣời” 운을, “Đi một ngày đàng, học một
sàng khôn (하루에 가는 것은 바구니의 지혜를 얻게 될 것이다. 즉, 여행을 많이 갈수록 더
많은 좋은 지식을 배우게 될 것이라)”는 말에서 나타나는 “đàng”과 “sàng”은 같은 “àng” 운을
압운하였다. 그러나 속담에 운율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운율이 없는 속담들도
있다. “Nhất vợ, nhì trời (아내는 일등, 하나님은 이등. 즉, 남편에게 아내가 제일 중요한
역할이라는 말이다)”, “Bụng đói tai điếc (배가 고프면 귀를 먹는다)”는 말이 예들이다.
셋째, 속담은 보통 두 가지 명제로 이루어지며 통사적 조화를 보여주었다. 두 가지 명제는
긴 문장의 속담에만 나타났으며 대칭적이인 의미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Cha mẹ giàu con có,
cha mẹ khó con khơng (부모가 부자이면 자식에게 상속할 재산이 많고 부모가 가난하면
자식에게 상속할 재산이 없다)”, “Chồng loan, vợ phƣợng (남편은 난조(鸞鳥), 아내는 봉황)”
등과 같은 속담이다. 하지만 세 가지 명제로 구성되는 속담도 있다. “Bố chồng là lông con
phƣợng, mẹ chồng là tƣợng mới tô, nàng dâu là bồ nghe chửi (시아버지는 봉황의 털처럼 귀하고
시어머니는 방금 색칠을 한 상처럼 귀하고 며느리는 굴욕을 참는 바구니와 같다.)”는 세
가지 명제로 이루어지는 속담이다.

13



넷째, 속담에서 비유된 표현을 통하여 본의를 가볍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속담은 문자 그대로의 의미와 상징적, 또는 비유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Kiến tha lâu cũng (có ngày) đầy tổ (개미가 오랫동안 음식을 모으면 개미집에 가득찰
날이 있을 것이다.”는 속담이 있다. 즉, 작은 것이라도 열심히 모으면 큰 것이 될 수 있다는
뜻으로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한국 속담과 같은 의미를 표현한다.
이상으로 한국과 베트남 속담의 정의와 특징 고찰을 통해서, 속담은 두 국가의 사전에
많이 나타났으며 학자들의 관심을 끄는 주제였다는 공통점을 알 수 있다. 이 것은 두 나라의
언어 연구 분야에서 속담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각 사전, 각 학자의 견해에서 속담의 정의와 특징은 약간 다르게 표현되지만,
그 공통적 요소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속담은 조상으로부터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민간의 언어이다.
둘째, 속담의 내용은 교훈·풍자·민족의 경험과 삶의 지혜가 담겨 있는 말이며,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셋째, 속담의 형식은 짧고 간결하게 압축되어 표현하는 문장이다. 운율이 있기 때문이
기억하기 쉽고 전달하기 쉽다. 그리고 보통 구체적인 비유법을 통해서 내용이 다양하게
표현하는 말이다.
2.2. 가족에 대한 관념과 특징
베트남 백과사전에 따르면 속담의 내용은 매우 풍부하다. 내용에 의하여 삶과 관련된
자연현상 (햇빛, 비, 날씨, 사계절 등)에 대한 속담, 일상적인 작업과 관련된 생산 노동에 대한
속담, 가족 (부모, 부부, 형제, 자매 등) 관계에 대한 속담, 사회생활 (이웃, 상하 관계 등)에
대한 속담 등을 여러 범주로 나눌 수 있다. 그중에 가족 관계는 한국과 베트남의 속담에서
많이 표현되고 있는 주제이다.
Pham Viet Long (2012)에 따르면 베트남 속담 총 7,040 개 중에 가족에 관한 속담 수가
730 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속담의 10.36%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국립국어원에서
등장하는 한국 속담 7,437 개 중에 가족 관계에 대한 속담은 800 여 개 이상으로, 전체 속담
수의 10.7 %를 차지한다. 이러한 것은 상당히 높은 비율로 베트남인과 한국인이 가족에 대한
큰 관심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가족이 무엇이고 가족의 기능과 형태는 어떻게 되며
베트남인과 한국인의 가족에 대한 특징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2.2.1 가족에 대한 정의와 기능


14


가족에 대한 정의는 가족을 연구하는 학자마다 강조하는 점이 약간 다르다. 사전적
정의는 “가족은 부부, 부모, 자녀, 형제 등 혈연에 의해 맺어지고 생활을 함께 하는 공동체
또는 성원”이라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에 따르면 “가족은
혈연·인연·입양으로 연결된 일정 범위의 사람들(친족원)로 구성된 집단”이라고 한다. 즉
가족은 가족학용어로 친족집단이라고 부를 수 있다. 20 최재석 (1982)은 가족이 가계를
공동으로 하는 친족집단이라고 정의하였다 21 . 또한 유영주는 “가족은 부부와 그들의
자녀들로 구성되는 기본적인 사회집단으로서 이들은 이익관계를 떠난 애정적인 혈연
집단이며, 같은 장소에서 기거하고 취사하는 동거동재(同居同財) 집단이고, 그 가족만의
고유한 가풍을 갖는 문화집단”이라고 정의하였다.22
Pham Viet Long (팜비엣롱) (2012)에 의해 가족은 자연적이며 사회적 존재이다. 가족은
혼인, 친척 및 혈통 관계를 통해 맺어져서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혈통을 유지하고
공동체의 문화적 가치를 보존하며 증진하고, 사람의 인격 육성 또는 사회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역사적 과정에서 공동체와 국가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Toan Anh (뚜안아잉)
(2000)에 따르면 가족은 한 집에서 같이 생활하는 친척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하였다.23
가족은 개인과 사회의 중간에 위치한 체계로서 전체 사회에 대하여는 하위체계로,
개인에 대하여는 상위체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족의 기능은 가족제도가 전체 사회에
대해 작용하는 기능(대외적 기능)과 가족 구성원에 대한 기능(대내적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족의 기능에 대한 내용을 여러 학자들이 연구하였지만 학자에 따라서 관점이
다르고 기능의 내용이 상이하다. 이 가운데 성적 기능, 자녀 출산, 교육, 경제적 기능 등의 네
가지 기능은 대다수가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내용이다. 한국의 경우는 교육(사회화), 양육, 성,
자녀 출산과 생식, 경제, 휴식, 오락, 보호·양호, 종교, 정서적 만족·지지 및 사회적 지위부여
순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2.2.2 가족 형성의 요인
어느 사회에서도 가족은 주요 혈연·혼인·입양의 세 가지 요인으로 형성된다. 가족에서의

혈연관계는 부모-자녀 관계를 기본으로 하고 그 확장을 포함한다. 예컨대 조손관계는 부모
자녀관계가 수직적으로 확장(직계친)된 것이며, 형제관계는 부모를 공유하는 수평적

20

한국민죽문화대박과사전 참고, 가족
최재석 (1982),『한국가족연구』, 일지사
22
유영주,김순옥,김경신 (1996),『가족 관계학』, 교문사
23
Toan Ánh (뚜안아잉) (2000), 『Tìm hiểu phong tục Việt Nam qua nếp cũ gia đình』(가족의 전통습관을 통해
베트남의 풍습 알아보기) , NXB Văn nghệ thành phố Hồ Chí Minh (호지만예술 출판사).
21

15


확장(방계친)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혼인관계는 부부관계를 기본으로 하고 그 확장을
포함한다. 또한 고부관계는 한 여성의 부부관계와 그 남편의 모자관계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입양은 생물학적 자녀가 없는 경우에 특정의 목적을 위하여 사회적인
자녀관계를 맺는 것을 말한다.

2.2.3 가족의 유형 및 형태
가족의 외적 구조는 가족의 크기, 세대별 유형, 가족형태, 가족유형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가족의 크기는 가족원의 수에 의해 파악될 것이다. 예컨대 3 인 가족, 4 인 가족
등이다. 가족의 세대별 유형은 가족을 구성하는 가족원의 세대 수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즉,
가족이 한 세대의 사람들로만 구성되는 경우(1 세대 가족), 부모와 자녀 등의 두 세대로
구성되는 경우(2 세대 가족), 또는 조부모·양친·자녀와 같이 세 세대로 구성되는 경우(3 세대
가족) 등으로 구분되었다. 가족형태는 가족원의 종류에 따라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를
이루고 있고 가족의 유형은 가족원 결합의 원리와 범위 등에 의해서 분류된다.

이밖에도 가족의 범위나 크기를 기준으로 소가족·대가족 또는 핵가족·확대가족 24 으로
나눌 수 있다. 핵가족은 개별·단순·부부가족, 확대가족은 총체·합성·복합·직계 가족이라고도
한다. 소가족 및 핵가족의 전형적 형태는 부부와 그들의 미혼 직계 자녀들로써 구성되며
부부가 중심이 되는 가족이다. 대가족 및 확대가족은 혈연관계가 중심이 되는 가족이다.
가족 형태를 다음과 같이 도표로 정리한다.
<표 3> 가족 형태 구분
구분
가족의
세대별
유형

가족유형

가족의 형태

1 세대 가족

부부, 기타

2 세대 가족

부부와 미혼 자녀, 부와 미혼 자녀,모와 미혼 자녀, 부부와
양친, 부부와 한부모, 조부모와 미혼손 자녀,기타

3 세대 가족

부부와 미혼 자녀, 양친
부부와 미혼자녀, 모친(또는 부친), 기타

핵가족


부부, 부부와 미혼자녀, 한부모와 미혼자녀 등

대가족

부부와 양친, 자녀 등

2.2.4 한국과 베트남 가족의 특징
한국의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이념을 받아들이면서 중국의 종법제에 입각한 가족제도를
이상적인 가족제도로 여기게 되었다. 고려시대까지는 양변적 방계가족이라 할 수 있는 확장
규칙이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제한적이지만 여러 자료에 의하면, 딸과 사위를 포함하는
가족이 확인되는 부처제로 변환하고, 상속제와 양자제를 종법의 이념에 부합하도록
24

핵가족·확대가족이라는 용어는 미국의 인류학자 George Peter Murdock 이 처음 사용한다.

16


×